[2009.03.17]번지는 입학사정관제…서남표 신드롬, 대입 ‘판’ 바꾸나

등록 2009.03.17.
(박제균 앵커) 최근 서남표 KAIST 총장의 대학입시 개혁안이 파장을 일으키며 각 대학에 번지고 있습니다. KAIST는 올해 입시부터 일반고 학생 150명을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무시험으로 뽑기로 했는데요, 각종 경시대회 성적도 일체 반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김현수 앵커) 대학수학능력시험도 잘 봐야하고, 내신 관리도 잘 해야 하고, 논술이나, 대학별고사까지 잘 보기 위해 사교육에 사교육을 더 해야만 했던 학부모와 학생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교육생활부 김기용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최근 대학입시 판도가 바뀌고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해 주시죠.

(김기용) 시청자 여러분 혹시 `서남표 신드롬`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 입시 관계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말 가운데 하나인데요, KAIST에서 무시험으로 신입생을 뽑으려는 서남표 총장의 입시개혁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서남표 신드롬의 핵심이 바로 입학사정관입니다.

입학사정관은 각 대학이 신입생을 뽑을 때 지원자들을 일일이 면접하고 필요할 경우 해당 학교나 가정까지 찾아가 세밀하게 따지는 면접관입니다. 대학들은 입학사정관을 통해 시험 점수 1, 2점이 아니라 수험생의 평소 생활 태도, 신념, 창의성, 잠재력 등을 평가하려는 것이죠. 입학사정관 때문에 입시판도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박 앵커) 시험 점수가 아닌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들리는데요, 입학사정관제가 정착 되면 기형적인 우리나라의 대학입시가 바뀔까요?

(김) 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선 서남표 총장의 경우 사교육을 받은 학생에 대해 오히려 불이익을 주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각 대학들도 KAIST처럼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정착시킨다면 사교육비 절감에는 크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앵커) 그렇다면 입학사정관들은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무엇을 평가한다는 것인가요

(김) 입학사정관제가 좋은 취지로 출발하곤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선발 인원을 늘리고 있지만, 구체적인 평가 기준 등이 공개되지 않다 보니 일선 학교와 학부모들의 걱정이 더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또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40개 대학에 총 236억 원을 지원할 계획인데, 지원 대학들이 지원금을 따 내기 위해 무리하게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위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라는 것이죠. 제가 일선 학교에서 만난 한 고3 학부모는 "돌아가신 김수환 추기경 같은 분이 입학사정관이라면 결과를 믿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서는 대학을 믿을 수 없다"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박 앵커) 많은 언론에서도 그 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우리보다 입학사정관제를 훨씬 일찍 도입한 미국은 어떤가요?

(김) 우리가 도입하려는 입학사정관제도는 사실 미국 방식인데요, 미국의 경우 이미 입학사정관제가 뿌리깊이 정착돼 있습니다. 대학과 고등학교의 신뢰는 물론이고, 지원자와 대학의 신뢰도 튼튼합니다. 특히 1937년 결성돼 7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입학사정관협회가 있는데요, 이 단체는 단순히 신입생을 선발하는 것 외에도 개별 학생에 대한 진학 지도, 입학 상담 업무까지 하고 있습니다.

(김 앵커)입학사정관제 외에도 대학입시를 개혁하려는 다른 시도는 없나요?

(김) 미술대학으로 유명한 홍익대가 대표적입니다. 홍익대는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3학년도부터 미대 실기 시험을 폐지키로 했습니다. 실기 준비로 사교육비가 많이 든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그러나 미술 대학이 실기 시험을 보지 않으면 무엇으로 신입생을 뽑냐며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외에도 대학입시의 핵심 골격인 3불 정책, 다시 말해 고교등급제 본고사 기여입학제를 금지하는 정책도 이제는 개선해야 될 때가 됐다는 요구가 많은 것도 대입 판도가 크게 바뀔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 앵커) 입학사정관제나 실기 폐지, 3불 정책 개선 등으로 고질적인 한국의 대학입시 병폐가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바로잡히기를 기대해보겠습니다. 김 기자 수고했습니다.

(박제균 앵커) 최근 서남표 KAIST 총장의 대학입시 개혁안이 파장을 일으키며 각 대학에 번지고 있습니다. KAIST는 올해 입시부터 일반고 학생 150명을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무시험으로 뽑기로 했는데요, 각종 경시대회 성적도 일체 반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김현수 앵커) 대학수학능력시험도 잘 봐야하고, 내신 관리도 잘 해야 하고, 논술이나, 대학별고사까지 잘 보기 위해 사교육에 사교육을 더 해야만 했던 학부모와 학생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교육생활부 김기용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최근 대학입시 판도가 바뀌고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해 주시죠.

(김기용) 시청자 여러분 혹시 `서남표 신드롬`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 입시 관계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말 가운데 하나인데요, KAIST에서 무시험으로 신입생을 뽑으려는 서남표 총장의 입시개혁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서남표 신드롬의 핵심이 바로 입학사정관입니다.

입학사정관은 각 대학이 신입생을 뽑을 때 지원자들을 일일이 면접하고 필요할 경우 해당 학교나 가정까지 찾아가 세밀하게 따지는 면접관입니다. 대학들은 입학사정관을 통해 시험 점수 1, 2점이 아니라 수험생의 평소 생활 태도, 신념, 창의성, 잠재력 등을 평가하려는 것이죠. 입학사정관 때문에 입시판도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박 앵커) 시험 점수가 아닌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들리는데요, 입학사정관제가 정착 되면 기형적인 우리나라의 대학입시가 바뀔까요?

(김) 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선 서남표 총장의 경우 사교육을 받은 학생에 대해 오히려 불이익을 주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각 대학들도 KAIST처럼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정착시킨다면 사교육비 절감에는 크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앵커) 그렇다면 입학사정관들은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무엇을 평가한다는 것인가요

(김) 입학사정관제가 좋은 취지로 출발하곤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선발 인원을 늘리고 있지만, 구체적인 평가 기준 등이 공개되지 않다 보니 일선 학교와 학부모들의 걱정이 더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또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40개 대학에 총 236억 원을 지원할 계획인데, 지원 대학들이 지원금을 따 내기 위해 무리하게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위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라는 것이죠. 제가 일선 학교에서 만난 한 고3 학부모는 "돌아가신 김수환 추기경 같은 분이 입학사정관이라면 결과를 믿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서는 대학을 믿을 수 없다"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박 앵커) 많은 언론에서도 그 같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우리보다 입학사정관제를 훨씬 일찍 도입한 미국은 어떤가요?

(김) 우리가 도입하려는 입학사정관제도는 사실 미국 방식인데요, 미국의 경우 이미 입학사정관제가 뿌리깊이 정착돼 있습니다. 대학과 고등학교의 신뢰는 물론이고, 지원자와 대학의 신뢰도 튼튼합니다. 특히 1937년 결성돼 7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입학사정관협회가 있는데요, 이 단체는 단순히 신입생을 선발하는 것 외에도 개별 학생에 대한 진학 지도, 입학 상담 업무까지 하고 있습니다.

(김 앵커)입학사정관제 외에도 대학입시를 개혁하려는 다른 시도는 없나요?

(김) 미술대학으로 유명한 홍익대가 대표적입니다. 홍익대는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3학년도부터 미대 실기 시험을 폐지키로 했습니다. 실기 준비로 사교육비가 많이 든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그러나 미술 대학이 실기 시험을 보지 않으면 무엇으로 신입생을 뽑냐며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외에도 대학입시의 핵심 골격인 3불 정책, 다시 말해 고교등급제 본고사 기여입학제를 금지하는 정책도 이제는 개선해야 될 때가 됐다는 요구가 많은 것도 대입 판도가 크게 바뀔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 앵커) 입학사정관제나 실기 폐지, 3불 정책 개선 등으로 고질적인 한국의 대학입시 병폐가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바로잡히기를 기대해보겠습니다. 김 기자 수고했습니다.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