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의문점 남긴 3차 서해교전 그후

등록 2009.11.12.
(신광영 앵커) 10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북한경비정의 선제사격으로 남북 함정간 교전이 벌어졌는데요, 군 당국은 북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김현수 앵커) 이번 교전은 우리 군의 완승으로 끝났지만 북의 도발과정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방부에 출입하는 윤상호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윤 기자,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비해 우리 군은 어떻게 대비하고 있습니까.

(윤 상호 기자) 네, 교전 이후 해군은 북한의 NLL 추가도발에 대비해 11일 서해상에 4500t급 KDX-Ⅱ 한국형구축함과 3900t급 KDX-Ⅰ 한국형구축함 각 1척, 1800t급 초계함 2척을 증강 배치했습니다. KDX-Ⅱ는 우리 해군의 최신예 주력 구축함으로 대공·대함미사일과 127㎜ 함포 등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초계함 2척은 유사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거리에서 NLL 초계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공군과 육군도 군사분계선(MDL)에서의 공중 육상도발에 대비해 경계태세를 강화했습니다.

현재까지 북한의 서해함대사령부 예하 8전대의 북한경비정과 해안포와 지대함미사일 기지의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군 정보소식통은 북한이 교전 직후 서해함대사 예하부대에 비상대기령을 내리는 등 근무태세를 강화했다고 전했습니다. 따라서 당장 도발 움직임은 없지만 시간을 더 갖고 보복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

(신 앵커)1,2차 연평해전와 비교해 이번 교전에서 북한경비정의 NLL 침범과 도발과정에 몇 가지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죠?

(윤 기자)네, 우선 1,2차 연평해전 당시 북한은 여러 척의 경비정과 어뢰정으로 NLL을 침범한 뒤 기습도발을 감행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북한경비정 단 1척이 NLL을 넘어왔고, 후방에 다른 고속정이나 어뢰정의 지원이 없었습니다. 또 북한경비정은 교전 중에도 85㎜ 대구경 함포를 발사하지 않고 소구경 함포로만 응사했습니다. 때문에 일각에선 북한경비정이 NLL에서 조업단속을 하다 남측과 우발적 충돌을 빚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경비정이 5차례의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무시한 채 아군 함정을 겨냥해 먼저 조준사격까지 한 것은 상부의 지시에 따른 계획된 도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군 당국의 분석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한국방문과 북미간 양자대화를 앞두고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조성해 이명박 정부의 원칙적 대북정책 기조를 흔들고, 미국에 한반도 문제의 시급성을 부각시키려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김 앵커)북한경비정의 선제공격에도 우리 군이 인명피해 없이 승리를 거둔 이유는 무엇입니까.

(윤 기자) 2차 연평해전 이후 우리 군이 교전규칙을 바꿨기 때문입니다. 2차 연평해전 때가지 해군 함정의 교전규칙은 경고통신->시위기동->차단기동->경고사격->격파사격의 5단계였습니다. 이에 따라 해군 고속정은 북한경비정에 근접해 시위·차단기동을 하다 불의의 기습을 당해 많은 사상자를 냈습니다.

이후 군은 교전규칙을 경고통신->경고사격->격파사격의 3단계로 축소하는 한편 현장지휘관이 직접 판단해 상부 보고없이 적함을 향해 발포할 수 있는 권한을 줬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경비정이 도발하자 아군 함정들이 즉각 대응에 나서 속전속결로 물리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교전시간도 1차 연평해전 때 14분, 2차 연평해전 때 20분과 비교해 이번 교전은 단 2분 만에 상황이 종료됐습니다.

(신 앵커) 북한군의 구체적인 교전 피해 상황이 파악됐습니까.

(윤 기자) 현재까지 국방부와 합참은 북한군의 피해상황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소식통에 따르면 교전 당시 북한경비정은 우리 해군의 초계함과 고속정 등 6척의 함정에서 4000여발 이상의 소나기 포화를 맞고 선체에 구멍이 뚫리는 등 반파되는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경비정은 NLL을 간신히 넘었지만 기관 고장으로 바다에 거의 멈춰 섰고, 이후 북한의 다른 함정에 예인돼 가까운 서해 기지로 복귀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 군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의 인명피해는 1명이 사망, 3명 이상이 부상한 것으로 파악됐고, 교전 당시 북한군의 교신감청 내용 등을 분석할 때 부상자의 상태도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앵커)이번 교전사태가 앞으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에 어떻게 작용할까요.

(윤 기자) 한국과 미국정부는 북한이 더 이상 도발에 나서지 말 것을 경고하며 사태 악화를 막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11일 공식브리핑에서 이번 교전으로 남북관계가 악화되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도 1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각료회의에서 기자들에게 "상황이 악화되지 않길 바라며 이번 사건이 스티븐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언론들은 이번 교전이 남북, 북미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도발로 남한의 대북여론이 악화되면서 각종 지원사업이나 북한이 바라는 남북정상회담의 실현가능성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향후 북미대화에서 북한이 교전사태를 문제 삼아 남측사과 등을 요구할 경우 미 행정부의 운신 폭은 더욱 좁히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앵커) 네, 윤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신광영 앵커) 10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북한경비정의 선제사격으로 남북 함정간 교전이 벌어졌는데요, 군 당국은 북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김현수 앵커) 이번 교전은 우리 군의 완승으로 끝났지만 북의 도발과정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방부에 출입하는 윤상호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윤 기자,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비해 우리 군은 어떻게 대비하고 있습니까.

(윤 상호 기자) 네, 교전 이후 해군은 북한의 NLL 추가도발에 대비해 11일 서해상에 4500t급 KDX-Ⅱ 한국형구축함과 3900t급 KDX-Ⅰ 한국형구축함 각 1척, 1800t급 초계함 2척을 증강 배치했습니다. KDX-Ⅱ는 우리 해군의 최신예 주력 구축함으로 대공·대함미사일과 127㎜ 함포 등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초계함 2척은 유사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거리에서 NLL 초계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공군과 육군도 군사분계선(MDL)에서의 공중 육상도발에 대비해 경계태세를 강화했습니다.

현재까지 북한의 서해함대사령부 예하 8전대의 북한경비정과 해안포와 지대함미사일 기지의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군 정보소식통은 북한이 교전 직후 서해함대사 예하부대에 비상대기령을 내리는 등 근무태세를 강화했다고 전했습니다. 따라서 당장 도발 움직임은 없지만 시간을 더 갖고 보복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

(신 앵커)1,2차 연평해전와 비교해 이번 교전에서 북한경비정의 NLL 침범과 도발과정에 몇 가지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죠?

(윤 기자)네, 우선 1,2차 연평해전 당시 북한은 여러 척의 경비정과 어뢰정으로 NLL을 침범한 뒤 기습도발을 감행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북한경비정 단 1척이 NLL을 넘어왔고, 후방에 다른 고속정이나 어뢰정의 지원이 없었습니다. 또 북한경비정은 교전 중에도 85㎜ 대구경 함포를 발사하지 않고 소구경 함포로만 응사했습니다. 때문에 일각에선 북한경비정이 NLL에서 조업단속을 하다 남측과 우발적 충돌을 빚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경비정이 5차례의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무시한 채 아군 함정을 겨냥해 먼저 조준사격까지 한 것은 상부의 지시에 따른 계획된 도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군 당국의 분석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한국방문과 북미간 양자대화를 앞두고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조성해 이명박 정부의 원칙적 대북정책 기조를 흔들고, 미국에 한반도 문제의 시급성을 부각시키려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김 앵커)북한경비정의 선제공격에도 우리 군이 인명피해 없이 승리를 거둔 이유는 무엇입니까.

(윤 기자) 2차 연평해전 이후 우리 군이 교전규칙을 바꿨기 때문입니다. 2차 연평해전 때가지 해군 함정의 교전규칙은 경고통신->시위기동->차단기동->경고사격->격파사격의 5단계였습니다. 이에 따라 해군 고속정은 북한경비정에 근접해 시위·차단기동을 하다 불의의 기습을 당해 많은 사상자를 냈습니다.

이후 군은 교전규칙을 경고통신->경고사격->격파사격의 3단계로 축소하는 한편 현장지휘관이 직접 판단해 상부 보고없이 적함을 향해 발포할 수 있는 권한을 줬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경비정이 도발하자 아군 함정들이 즉각 대응에 나서 속전속결로 물리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교전시간도 1차 연평해전 때 14분, 2차 연평해전 때 20분과 비교해 이번 교전은 단 2분 만에 상황이 종료됐습니다.

(신 앵커) 북한군의 구체적인 교전 피해 상황이 파악됐습니까.

(윤 기자) 현재까지 국방부와 합참은 북한군의 피해상황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소식통에 따르면 교전 당시 북한경비정은 우리 해군의 초계함과 고속정 등 6척의 함정에서 4000여발 이상의 소나기 포화를 맞고 선체에 구멍이 뚫리는 등 반파되는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경비정은 NLL을 간신히 넘었지만 기관 고장으로 바다에 거의 멈춰 섰고, 이후 북한의 다른 함정에 예인돼 가까운 서해 기지로 복귀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 군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군의 인명피해는 1명이 사망, 3명 이상이 부상한 것으로 파악됐고, 교전 당시 북한군의 교신감청 내용 등을 분석할 때 부상자의 상태도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앵커)이번 교전사태가 앞으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에 어떻게 작용할까요.

(윤 기자) 한국과 미국정부는 북한이 더 이상 도발에 나서지 말 것을 경고하며 사태 악화를 막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11일 공식브리핑에서 이번 교전으로 남북관계가 악화되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도 1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각료회의에서 기자들에게 "상황이 악화되지 않길 바라며 이번 사건이 스티븐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언론들은 이번 교전이 남북, 북미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도발로 남한의 대북여론이 악화되면서 각종 지원사업이나 북한이 바라는 남북정상회담의 실현가능성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향후 북미대화에서 북한이 교전사태를 문제 삼아 남측사과 등을 요구할 경우 미 행정부의 운신 폭은 더욱 좁히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앵커) 네, 윤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