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에 드러난 대북 비선라인...왜 꼬였나

등록 2010.08.03.
남북 비선접촉 뒷얘기: 정상회담 논의부터 천안함 사건까지 무슨 일이….

(신광영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8월 3일 동아 뉴스스테이션입니다.

지 난해 8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빈소에 북한 조문단이 내려와 남북 정상회담 논의가 시작된 지 1년이 흘렀습니다. 논의는 임태희 현 대통령실장의 비선라인을 통해 급물살을 탔다가 현인택 통일부장관이 이끄는 당국간 협상에서 결렬됐습니다.

(구 앵커) 동아일보가 협상 시작 1년을 맞아 베일에 가려져 있는 협상 내막을 들여다봤습니다. 새로운 사실이 적지 않게 드러났습니다. 정치부 신석호 차장과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신광영 앵커) 신 차장,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접촉 과정부터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죠.

(신 석호 차장) 그렇습니다.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대선 때 이명박 후보 비서실장과 당선 후 이명박 당선자 비서실장을 지낸 임태희 당시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이 이끈 비선 라인은 이미 지난해 8월 이전부터 북측과 긴밀한 접촉을 해왔습니다. 서거한 김대중 전 대통령 조문단 서울 방문을 막후에서 조율했다고 합니다. 조문단 방문 이후인 지난해 8, 9월 북한의 대남 유화조치는 모두 임 실장 비선라인이 북측과 협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구 앵커) 그건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임 실장의 비선 라인 가동을 승인했다는 얘긴데요.

(신 차장) 네, 그렇습니다. 당시 정부는 북한에 억류된 개성공단 근로자 유성진 씨 석방과 북한의 개성공단 임금인상 요구 등 북한과 풀어야 할 현안들이 많았습니다.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던 임 실장은 이미 당직자와 대북 사업가 등으로 비선을 구성해 북측과 접촉하고 있었고 이 대통령은 이 라인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입니다.

이어 남북간 현안이 풀린 뒤 10월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있었습니다. 북한은 당시 노동부 장관이던 임 실장에게 연내 정상회담 개최와 경제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임 실장도 여기에 대략적인 동의를 하고 양해각서에 서명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비선 활동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문제가 꼬이기 시작했습니다.

(신 앵커) 그래서 이 대통령이 현인택 통일부 장관이 이끄는 당국간 대화채널을 가동했죠?

(신 차장) 현 장관이 이끄는 정부 협상단은 11월 7일과 14일 개성에서 북한 통일전선부 협상단과 당국 차원의 정상회담 논의를 했습니다. 그러나 정부가 임 실장이 합의한 것보다 회담 조건을 높여 불렀고 북측도 남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내걸어 결국 합의가 무산됐습니다.

북측은 정상회담 전에 식량과 비료 지원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또 임 실장과 합의한 내용을 들이대며 장소는 평양에서, 회담 후 남측으로 송환 또는 고향방문을 할 국군포로와 납북자는 1명 정도 허용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이에 대해 남측은 회담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없다고 못 박았고 회담 장소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0년 6·15공동선언에서 약속한 대로 서울 답방을 해야 하며 국군포로 납북자 수도 10명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했답니다.

(구 앵커) 북한은 어떻게 나왔나요.

(신 차장) 이에 대해 북측은 미리 경제지원을 못하면 나중에라도 주겠다는 이면합의를 해달라거나 공식 합의문에 남측이 6·15와 10·4선언을 실천하겠다는 내용을 넣자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양측이 합의하지 못한 가운데 7일 회담이 종료됐고 3일 뒤인 11월 10일 서해에서 대청해전이 나 14일 회담은 양측의 이견만 확인한 채 종료됐다고 합니다.

(신 앵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그 후에도 북한은 여권 정치인들을 접촉해 임 실장과의 합의사항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지요.

(신 차장) 북한은 지난해 12월 여권 중진 A씨에게 접근해 청와대에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해 달라고 했다고 합니다. 임 실장과의 합의를 지켜라, 남북간 비공식 대화 채널을 만들자, 비료 30만t을 지원해 달라는 등의 내용이라고 합니다. 북측은 A씨 외에 다른 실세정치인들에게도 비슷한 내용으로 접근했다고 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시 상황에 대해 "우리 정부와는 무관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말은 전해졌지만 공식적으로 접수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은 것입니다. 그러나 대북 소식통들은 몇 건은 비공식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달됐을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어쨌거나 남북 정상회담 논의는 논의로 끝이 났고 결국 3월 26일 천안함 사건이 터졌습니다. 남북 비선 및 당국 접촉 과정을 돌아보면 우선 대통령이 비선 라인을 통해 북한의 양보를 받아내고 당국간 라인을 통해 북한이 원한 정상회담 논의를 결렬시킨 것이 협상 원칙에 맞느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임 실장과 현 장관이 엇박자를 내 정부가 전략적으로 협상에 임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 앵커) 신 차장, 수고했습니다.

남북 비선접촉 뒷얘기: 정상회담 논의부터 천안함 사건까지 무슨 일이….

(신광영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8월 3일 동아 뉴스스테이션입니다.

지 난해 8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빈소에 북한 조문단이 내려와 남북 정상회담 논의가 시작된 지 1년이 흘렀습니다. 논의는 임태희 현 대통령실장의 비선라인을 통해 급물살을 탔다가 현인택 통일부장관이 이끄는 당국간 협상에서 결렬됐습니다.

(구 앵커) 동아일보가 협상 시작 1년을 맞아 베일에 가려져 있는 협상 내막을 들여다봤습니다. 새로운 사실이 적지 않게 드러났습니다. 정치부 신석호 차장과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신광영 앵커) 신 차장,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접촉 과정부터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죠.

(신 석호 차장) 그렇습니다.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대선 때 이명박 후보 비서실장과 당선 후 이명박 당선자 비서실장을 지낸 임태희 당시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이 이끈 비선 라인은 이미 지난해 8월 이전부터 북측과 긴밀한 접촉을 해왔습니다. 서거한 김대중 전 대통령 조문단 서울 방문을 막후에서 조율했다고 합니다. 조문단 방문 이후인 지난해 8, 9월 북한의 대남 유화조치는 모두 임 실장 비선라인이 북측과 협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구 앵커) 그건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임 실장의 비선 라인 가동을 승인했다는 얘긴데요.

(신 차장) 네, 그렇습니다. 당시 정부는 북한에 억류된 개성공단 근로자 유성진 씨 석방과 북한의 개성공단 임금인상 요구 등 북한과 풀어야 할 현안들이 많았습니다.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던 임 실장은 이미 당직자와 대북 사업가 등으로 비선을 구성해 북측과 접촉하고 있었고 이 대통령은 이 라인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입니다.

이어 남북간 현안이 풀린 뒤 10월 싱가포르에서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있었습니다. 북한은 당시 노동부 장관이던 임 실장에게 연내 정상회담 개최와 경제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임 실장도 여기에 대략적인 동의를 하고 양해각서에 서명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비선 활동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문제가 꼬이기 시작했습니다.

(신 앵커) 그래서 이 대통령이 현인택 통일부 장관이 이끄는 당국간 대화채널을 가동했죠?

(신 차장) 현 장관이 이끄는 정부 협상단은 11월 7일과 14일 개성에서 북한 통일전선부 협상단과 당국 차원의 정상회담 논의를 했습니다. 그러나 정부가 임 실장이 합의한 것보다 회담 조건을 높여 불렀고 북측도 남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내걸어 결국 합의가 무산됐습니다.

북측은 정상회담 전에 식량과 비료 지원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또 임 실장과 합의한 내용을 들이대며 장소는 평양에서, 회담 후 남측으로 송환 또는 고향방문을 할 국군포로와 납북자는 1명 정도 허용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이에 대해 남측은 회담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없다고 못 박았고 회담 장소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0년 6·15공동선언에서 약속한 대로 서울 답방을 해야 하며 국군포로 납북자 수도 10명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했답니다.

(구 앵커) 북한은 어떻게 나왔나요.

(신 차장) 이에 대해 북측은 미리 경제지원을 못하면 나중에라도 주겠다는 이면합의를 해달라거나 공식 합의문에 남측이 6·15와 10·4선언을 실천하겠다는 내용을 넣자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양측이 합의하지 못한 가운데 7일 회담이 종료됐고 3일 뒤인 11월 10일 서해에서 대청해전이 나 14일 회담은 양측의 이견만 확인한 채 종료됐다고 합니다.

(신 앵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그 후에도 북한은 여권 정치인들을 접촉해 임 실장과의 합의사항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지요.

(신 차장) 북한은 지난해 12월 여권 중진 A씨에게 접근해 청와대에 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해 달라고 했다고 합니다. 임 실장과의 합의를 지켜라, 남북간 비공식 대화 채널을 만들자, 비료 30만t을 지원해 달라는 등의 내용이라고 합니다. 북측은 A씨 외에 다른 실세정치인들에게도 비슷한 내용으로 접근했다고 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시 상황에 대해 "우리 정부와는 무관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말은 전해졌지만 공식적으로 접수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은 것입니다. 그러나 대북 소식통들은 몇 건은 비공식적으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달됐을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어쨌거나 남북 정상회담 논의는 논의로 끝이 났고 결국 3월 26일 천안함 사건이 터졌습니다. 남북 비선 및 당국 접촉 과정을 돌아보면 우선 대통령이 비선 라인을 통해 북한의 양보를 받아내고 당국간 라인을 통해 북한이 원한 정상회담 논의를 결렬시킨 것이 협상 원칙에 맞느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임 실장과 현 장관이 엇박자를 내 정부가 전략적으로 협상에 임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구 앵커) 신 차장, 수고했습니다.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