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인 평일 평균 여가시간 3.6시간, 여가비용 13만원

등록 2014.12.17.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 여가시간은 증가했지만 주로 TV시청, 인터넷 검색, 산책 등 소극적 휴식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국민들의 여가 활동의 수요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 만 15세 이상 성인 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한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일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6시간, 휴일 5.8시간, 평균 여가비용은 13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조사의 3.3시간, 5.1시간, 12만 5천 원보다 각각 0.3시간, 0.7시간, 5천 원이 증가한 것이다.

한편 평균 휴가 일수도 6.0일로 2012년의 5.1일에 비해 0.9일 증가하였으며,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7.2시간으로 2012년 49.1시간에 비해 1.9시간 감소했다.

지난 1년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한 개별 여가활동은 텔레비전 시청(51.4%)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인터넷/SNS(11.5%), 산책(4.5%), 게임(4.0%) 순으로, 소극적 휴식활동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휴식활동(62.2%), 취미·오락활동(21.1%), 스포츠 참여활동(8.6%)의 순서로 조사되어 유형별 분류에서도 소극적 여가활동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은 혼자서 하는 경우(56.8%)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32.1%), 친구와 함께하는 경우(8.3%)의 순서대로 조사되었다.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는 2012년 21.9%에서 10.2% 증가했다.

한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수행한 문화여가행복지수에 대한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문화여가행복지수는 70.1점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행복지수란 국민들이 문화여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가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개인여건(여가시간, 비용 등) ▲자원(여가시설 등) ▲참여(여가활동 등) ▲태도(여가에 대한 인식 등) ▲만족도(여가생활전반) 등 5가지 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야별 문화여가행복지수를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70.5점, 69.7점), 20대가 70세 이상보다(72.6점, 65.6점), 고소득자가 저소득자보다(가구 소득 600만 원 이상 73.1점, 100만 원 미만 64.2점), 대도시 거주자가 지방거주자보다(대도시 70.6점, 중소도시 70.3점, 읍면 68.2점) 높게 나타나, 성별·연령별·가구소득별·지역별로 행복감에 대한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체부 관계자는 “문화가 있는 삶의 정착을 위해서는 개인의 삶에 문화가 얼마나 체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연령별, 계층별 행복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화여가행복지수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자료를 접한 누리꾼들은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정말 적네”,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더 쉬어야지”,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쉬는 시간 줘도 못노네”,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정말 활용 못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 l 문체부 자료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 여가시간은 증가했지만 주로 TV시청, 인터넷 검색, 산책 등 소극적 휴식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국민들의 여가 활동의 수요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 만 15세 이상 성인 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한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일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6시간, 휴일 5.8시간, 평균 여가비용은 13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조사의 3.3시간, 5.1시간, 12만 5천 원보다 각각 0.3시간, 0.7시간, 5천 원이 증가한 것이다.

한편 평균 휴가 일수도 6.0일로 2012년의 5.1일에 비해 0.9일 증가하였으며,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7.2시간으로 2012년 49.1시간에 비해 1.9시간 감소했다.

지난 1년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한 개별 여가활동은 텔레비전 시청(51.4%)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인터넷/SNS(11.5%), 산책(4.5%), 게임(4.0%) 순으로, 소극적 휴식활동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휴식활동(62.2%), 취미·오락활동(21.1%), 스포츠 참여활동(8.6%)의 순서로 조사되어 유형별 분류에서도 소극적 여가활동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은 혼자서 하는 경우(56.8%)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32.1%), 친구와 함께하는 경우(8.3%)의 순서대로 조사되었다.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는 2012년 21.9%에서 10.2% 증가했다.

한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수행한 문화여가행복지수에 대한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문화여가행복지수는 70.1점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행복지수란 국민들이 문화여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가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개인여건(여가시간, 비용 등) ▲자원(여가시설 등) ▲참여(여가활동 등) ▲태도(여가에 대한 인식 등) ▲만족도(여가생활전반) 등 5가지 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야별 문화여가행복지수를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70.5점, 69.7점), 20대가 70세 이상보다(72.6점, 65.6점), 고소득자가 저소득자보다(가구 소득 600만 원 이상 73.1점, 100만 원 미만 64.2점), 대도시 거주자가 지방거주자보다(대도시 70.6점, 중소도시 70.3점, 읍면 68.2점) 높게 나타나, 성별·연령별·가구소득별·지역별로 행복감에 대한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체부 관계자는 “문화가 있는 삶의 정착을 위해서는 개인의 삶에 문화가 얼마나 체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연령별, 계층별 행복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화여가행복지수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자료를 접한 누리꾼들은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정말 적네”,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더 쉬어야지”,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쉬는 시간 줘도 못노네”,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정말 활용 못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 l 문체부 자료 (한국인 평균 여가시간)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