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 美-러 유엔총회서 ‘외교 전면전’… “냉전시대로 돌아간 느낌”

등록 2015.09.30.
美-러 유엔총회서 ‘외교 전면전’… 시리아 내전 해법 싸고 의견맞서

오바마, 러 겨냥 “국제법 위반”… 푸틴, 美 겨냥 “냉전 논리 여전”

中-日 ‘PKO 참여’ 경쟁 불붙어

유엔 ‘슈퍼 먼데이’에 미국과 러시아가 정면충돌했다. 제70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첫날인 28일 총회장 안에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국 정상들의 연설이, 회의장 밖에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주최 오찬 등이 하루 종일 이어졌다. 그야말로 ‘슈퍼 먼데이’였다. 유엔 관계자들이 “유엔 역사에 남을 만한 날”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이날 최대 하이라이트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설전이었다. 두 정상은 시리아 및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대해 마치 찬반 토론을 하듯 완전히 상반된 의견을 드러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미-소 냉전 시대로 돌아간 느낌이었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이 가장 큰 견해차를 보인 것은 시리아 사태 해법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제법을 위반하는 강대국이 있다”며 러시아를 겨냥했고, 푸틴 대통령은 미국을 “유엔과 협력하는 것을 거추장스럽게 생각하는 최강국”이라고 표현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서도 의견이 맞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주권을 침해당한 우크라이나 사태를 받아들이면 다른 어떤 나라에도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는 것이다. 냉전으로 회귀하기를 바라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냉전시대의 진영(bloc) 논리가 아직도 몇몇 동료 국가에 존재한다. 그들은 옛 소련 국가들에 ‘어느 진영을 선택할 것이냐’는 식의 잘못된 선택을 제안하곤 한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자기 국민에게 폭탄을 터뜨린 독재자”라며 미국을 지지한 반면에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싸우려면 아사드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해야 한다”며 러시아 편을 들어 유엔총회에 참석한 정상들의 입장도 분열됐다. 유엔총회에 처음 참석해 관심을 모은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시리아 국민은 자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있다”며 외국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보였다.

미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가장 비슷한 목소리를 낸 정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었다”며 “두 정상은 모두 ‘전쟁 대신 평화적인 외교로 국제사회의 문제를 풀어야 한다. 정글의 약육강식 원칙이 해결책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중 영국을 제외한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가, ‘브릭스(BRICS)’ 중에선 인도를 제외한 브라질 러시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모두 기조연설을 했다. 미국과 관계 정상화를 한 쿠바와 핵협상을 타결한 이란도 기조연설을 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세계 50여 개 국가가 4만 명의 군인 및 경찰 병력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새로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이 PKO에 적극적인 참여 계획을 밝혔다. PKO 기여도를 올리면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위상이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다.

시 주석은 “중국군 8000명을 평화유지군으로 파견하겠다”며 “PKO에 10년간 10억 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물량 공세를 폈다. 현재 PKO에 참가하고 있는 중국군은 3000명가량이다. 일본도 “다음 달 PKO 교관 양성 훈련을 처음 실시하겠다”며 “자위대의 임무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부형권 특파원 bookum90@donga.com

美-러 유엔총회서 ‘외교 전면전’… 시리아 내전 해법 싸고 의견맞서

오바마, 러 겨냥 “국제법 위반”… 푸틴, 美 겨냥 “냉전 논리 여전”

中-日 ‘PKO 참여’ 경쟁 불붙어

유엔 ‘슈퍼 먼데이’에 미국과 러시아가 정면충돌했다. 제70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첫날인 28일 총회장 안에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국 정상들의 연설이, 회의장 밖에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주최 오찬 등이 하루 종일 이어졌다. 그야말로 ‘슈퍼 먼데이’였다. 유엔 관계자들이 “유엔 역사에 남을 만한 날”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이날 최대 하이라이트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설전이었다. 두 정상은 시리아 및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대해 마치 찬반 토론을 하듯 완전히 상반된 의견을 드러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미-소 냉전 시대로 돌아간 느낌이었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이 가장 큰 견해차를 보인 것은 시리아 사태 해법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제법을 위반하는 강대국이 있다”며 러시아를 겨냥했고, 푸틴 대통령은 미국을 “유엔과 협력하는 것을 거추장스럽게 생각하는 최강국”이라고 표현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서도 의견이 맞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주권을 침해당한 우크라이나 사태를 받아들이면 다른 어떤 나라에도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는 것이다. 냉전으로 회귀하기를 바라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냉전시대의 진영(bloc) 논리가 아직도 몇몇 동료 국가에 존재한다. 그들은 옛 소련 국가들에 ‘어느 진영을 선택할 것이냐’는 식의 잘못된 선택을 제안하곤 한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자기 국민에게 폭탄을 터뜨린 독재자”라며 미국을 지지한 반면에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싸우려면 아사드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해야 한다”며 러시아 편을 들어 유엔총회에 참석한 정상들의 입장도 분열됐다. 유엔총회에 처음 참석해 관심을 모은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시리아 국민은 자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있다”며 외국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보였다.

미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가장 비슷한 목소리를 낸 정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었다”며 “두 정상은 모두 ‘전쟁 대신 평화적인 외교로 국제사회의 문제를 풀어야 한다. 정글의 약육강식 원칙이 해결책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중 영국을 제외한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가, ‘브릭스(BRICS)’ 중에선 인도를 제외한 브라질 러시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모두 기조연설을 했다. 미국과 관계 정상화를 한 쿠바와 핵협상을 타결한 이란도 기조연설을 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세계 50여 개 국가가 4만 명의 군인 및 경찰 병력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새로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이 PKO에 적극적인 참여 계획을 밝혔다. PKO 기여도를 올리면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위상이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다.

시 주석은 “중국군 8000명을 평화유지군으로 파견하겠다”며 “PKO에 10년간 10억 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물량 공세를 폈다. 현재 PKO에 참가하고 있는 중국군은 3000명가량이다. 일본도 “다음 달 PKO 교관 양성 훈련을 처음 실시하겠다”며 “자위대의 임무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부형권 특파원 bookum90@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