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한 영화인들의 외침 “문화계 블랙리스트 부역자들 OUT!”

등록 2017.02.08.
말로만 듣던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수면 위로 드러나자 뿔난 영화인들이 들고일어났다.

영화인들이 뭉친 (가칭)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준)이 7일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시네마테크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 부역자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사퇴 및 구속수사를 촉구하는 영화인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고영재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 임시공동대표는 “세월호 사건 이전에도 ‘광해’ ‘변호인’ 등과 관련해서도 블랙리스트 관련 억압은 있었다. 하지만 세월호 이후 본격화됐다”며 “보도된 분들만 블랙리스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질적인 피해만이 직접적인 피해가 아니다. 영화인 모두가 피해자다. 정권은 영화인들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뭉갰다. 이에 선언을 하게 됐다”고 선언 계기를 밝혔다.

먼저 정권에 반하는 영화를 만들었다는 이유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봤다는 영화감독들이 나섰다. 인권 영화 ‘불안한 외출’을 만든 김철민 감독은 “‘불안한 외출’의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이 결정됐을 때 문체부 직원이 문책당하고 경위서를 썼다고 알고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예술가의 작품을 배제하고 정부의 입맛에 맞는 단체를 지원하는 팀을 구성했다는 것도 기사를 통해 접했다. 말도 안 되는 일을 정부 최고위층에서 자행하고 있다는 것에 가슴 아팠다”고 말했다.



정치 풍자 영화 ‘자가당착’를 만들었다가 제한상영가 등급 받은 김선 감독은 “이명박 전 대통령 정권 말기 제한상영가 등급을 받았는데 사유가 황당하고 경악할 만했다. ‘국가 원수를 죽이려는 살인 무기 같은 영화’ ‘개인의 인권을 무자비하게 해치고 모독하는 극악무도한 영화’라는 것이었다”며 “적극적인 비판 대상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었는데 문제된 건 영화 중간 중간에 등장하는 박근혜 대통령이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 후보였는데 그를 일컬어 ‘국가 원수’라고 칭하더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적인 사안을 가지고 오면 불리할 것이라고 알았는지 영화의 폭력성을 문제삼았다. 실제 인물이 아니라 인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는데 폭력성을 따지니 황당했다. 소송 5년 만에 제한상영가 취소 판단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선 감독은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이 되고 블랙리스트가 터진 후 비단 ‘자가당착’만의 문제가 아니었구나 싶었다. 정권에 반하는 어떤 영화도, 어떤 발언도 내놓지 못하게 하는 계략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상식을 벗어나는 사회가 됐다. 한국 영화의 어두운 뒷면이 있다는 것을 알고 씁쓸했다. 상식을 벗어난 박근혜 정권의 문화 침탈이 근절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천안함 프로젝트’ 백승우 감독 또한 “갑작스러운 상영 취소 소식을 듣고 화가 나기보다 이해가 안 됐다. 법적 대응을 할 계획”이라면서 “드러난 상처를 치료해야 건강한 몸이 되듯 이 사태를 해결해야 건강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영화감독조합 부대표로 나선 류승완 감독도 블랙리스트 사태에 분노를 표출했다. 류승완 감독은 “가장 심각하게 느낀 문제는 국가가 개인의 생각을 통제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영화인들에게 가장 큰 재산은 자유롭게 생각하고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뺏어가려고 한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류 감독은 “블랙리스트가 최근 몇 년간 있었던 일은 아니다. 나의 경우 이병박 정부 때 영화 ‘부당거래’를 만들었다. 이 영화가 해외 영화제가 나가면 담당 프로그래머들이 고충을 겪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블랙리스트의 이야기를 듣고 사실 놀랍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그는 “대한민국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데 주권을 뺏어가려는 것이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뺏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큰 죄다. 학교에서 아이들 몇 명을 왕따시키는 것도 큰 일인데 국가가 왕따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문화 예술계 전반에 일어난 이 사태를 그냥 지나치게 된다면 사회 전반적으로 국가가 개인을 통제하려는 일이 벌어질 거 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류 감독은 “개인적으로는 제대로 된 처벌을 원한다. 감독 조합도 뜻이 같다고 생각한다. 책임을 져야 하는 사람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20세기에 벌어진 일들이 21세기에도 벌어지는 게 우습다. 이제는 끝내야 한다. 다같이 힘을 합쳐서 잘 해결해나갔으면 좋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상진 엣나인 대표는 “개인적으로는 영화 성향상 당연히 블랙리스트에 오를 거라고는 생각했는데 우리 회사가 올랐다는 것에 충격받았다. 나 자신은 괜찮지만 회사 동료 직원과 그들의 가족을 생각할 때 마음이 아프더라”면서 “같이 작업하는 정지영 감독과 아우라픽쳐스는 영화 투자에 있어서 배제되고 있다. 김기춘 조윤선 김세훈 등의 문제가 아니라 모태펀드를 심사한 사람들이 누군지 밝혀져야 한다. 그 역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과 서병수 부산시장의 즉각 사퇴와 더불어 두 사람에 대한 특검의 즉각 소환과 구속수사를 요구했다. 또한 영화진흥위원회와 부산시에 대한 특검의 압수수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문화계 블랙리스트 부역자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사퇴 및 구속수사를 촉구하는 영화인 선언은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이 주최했으며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분노하는 범 영화인 1052인 일동이 서명으로 힘을 더했다.

동아닷컴 정희연 기자 shine2562@donga.com

말로만 듣던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수면 위로 드러나자 뿔난 영화인들이 들고일어났다.

영화인들이 뭉친 (가칭)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준)이 7일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시네마테크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 부역자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사퇴 및 구속수사를 촉구하는 영화인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고영재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 임시공동대표는 “세월호 사건 이전에도 ‘광해’ ‘변호인’ 등과 관련해서도 블랙리스트 관련 억압은 있었다. 하지만 세월호 이후 본격화됐다”며 “보도된 분들만 블랙리스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질적인 피해만이 직접적인 피해가 아니다. 영화인 모두가 피해자다. 정권은 영화인들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뭉갰다. 이에 선언을 하게 됐다”고 선언 계기를 밝혔다.

먼저 정권에 반하는 영화를 만들었다는 이유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봤다는 영화감독들이 나섰다. 인권 영화 ‘불안한 외출’을 만든 김철민 감독은 “‘불안한 외출’의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이 결정됐을 때 문체부 직원이 문책당하고 경위서를 썼다고 알고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예술가의 작품을 배제하고 정부의 입맛에 맞는 단체를 지원하는 팀을 구성했다는 것도 기사를 통해 접했다. 말도 안 되는 일을 정부 최고위층에서 자행하고 있다는 것에 가슴 아팠다”고 말했다.



정치 풍자 영화 ‘자가당착’를 만들었다가 제한상영가 등급 받은 김선 감독은 “이명박 전 대통령 정권 말기 제한상영가 등급을 받았는데 사유가 황당하고 경악할 만했다. ‘국가 원수를 죽이려는 살인 무기 같은 영화’ ‘개인의 인권을 무자비하게 해치고 모독하는 극악무도한 영화’라는 것이었다”며 “적극적인 비판 대상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었는데 문제된 건 영화 중간 중간에 등장하는 박근혜 대통령이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 후보였는데 그를 일컬어 ‘국가 원수’라고 칭하더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적인 사안을 가지고 오면 불리할 것이라고 알았는지 영화의 폭력성을 문제삼았다. 실제 인물이 아니라 인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는데 폭력성을 따지니 황당했다. 소송 5년 만에 제한상영가 취소 판단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선 감독은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이 되고 블랙리스트가 터진 후 비단 ‘자가당착’만의 문제가 아니었구나 싶었다. 정권에 반하는 어떤 영화도, 어떤 발언도 내놓지 못하게 하는 계략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상식을 벗어나는 사회가 됐다. 한국 영화의 어두운 뒷면이 있다는 것을 알고 씁쓸했다. 상식을 벗어난 박근혜 정권의 문화 침탈이 근절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천안함 프로젝트’ 백승우 감독 또한 “갑작스러운 상영 취소 소식을 듣고 화가 나기보다 이해가 안 됐다. 법적 대응을 할 계획”이라면서 “드러난 상처를 치료해야 건강한 몸이 되듯 이 사태를 해결해야 건강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영화감독조합 부대표로 나선 류승완 감독도 블랙리스트 사태에 분노를 표출했다. 류승완 감독은 “가장 심각하게 느낀 문제는 국가가 개인의 생각을 통제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영화인들에게 가장 큰 재산은 자유롭게 생각하고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뺏어가려고 한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류 감독은 “블랙리스트가 최근 몇 년간 있었던 일은 아니다. 나의 경우 이병박 정부 때 영화 ‘부당거래’를 만들었다. 이 영화가 해외 영화제가 나가면 담당 프로그래머들이 고충을 겪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블랙리스트의 이야기를 듣고 사실 놀랍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그는 “대한민국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데 주권을 뺏어가려는 것이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뺏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큰 죄다. 학교에서 아이들 몇 명을 왕따시키는 것도 큰 일인데 국가가 왕따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문화 예술계 전반에 일어난 이 사태를 그냥 지나치게 된다면 사회 전반적으로 국가가 개인을 통제하려는 일이 벌어질 거 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류 감독은 “개인적으로는 제대로 된 처벌을 원한다. 감독 조합도 뜻이 같다고 생각한다. 책임을 져야 하는 사람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20세기에 벌어진 일들이 21세기에도 벌어지는 게 우습다. 이제는 끝내야 한다. 다같이 힘을 합쳐서 잘 해결해나갔으면 좋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상진 엣나인 대표는 “개인적으로는 영화 성향상 당연히 블랙리스트에 오를 거라고는 생각했는데 우리 회사가 올랐다는 것에 충격받았다. 나 자신은 괜찮지만 회사 동료 직원과 그들의 가족을 생각할 때 마음이 아프더라”면서 “같이 작업하는 정지영 감독과 아우라픽쳐스는 영화 투자에 있어서 배제되고 있다. 김기춘 조윤선 김세훈 등의 문제가 아니라 모태펀드를 심사한 사람들이 누군지 밝혀져야 한다. 그 역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과 서병수 부산시장의 즉각 사퇴와 더불어 두 사람에 대한 특검의 즉각 소환과 구속수사를 요구했다. 또한 영화진흥위원회와 부산시에 대한 특검의 압수수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문화계 블랙리스트 부역자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서병수 부산시장 사퇴 및 구속수사를 촉구하는 영화인 선언은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 행동이 주최했으며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분노하는 범 영화인 1052인 일동이 서명으로 힘을 더했다.

동아닷컴 정희연 기자 shine2562@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