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총리 후보자, 퇴근길 기자회견…“해명 못하면 이땅에서 못살아”

등록 2014.06.20.
“청문회 가겠다”… 사퇴 가능성 일축

“하루 종일 청문회 준비를 위해서 공부했습니다. 내일 또 여러분을 뵙겠습니다.”

19일 오후 6시,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퇴근길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그는 “안중근 의사처럼, 소년 다윗처럼 용기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자진사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20분 동안 내내 자신을 둘러싼 친일 논란에 대해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박근혜 대통령 귀국일(21일)이 다가오지만 여권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 文, “정말 떳떳해”

문 후보자는 기자들 앞에 종이 여러 장을 들고 나타났다. 그는 “우리 현대 인물사 가운데 가장 존경하는 분은 안중근 의사님과 도산 안창호 선생님”이라며 2009년 안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저격 100주년을 맞아 썼던 자신의 칼럼을 읽어내려 갔다. 이어 “왜 저한테 친일이다, 반민족이다, 이런 얘기를 하는지 정말로 가슴이 아프다”고도 했다.

안 의사의 애국심을 칭송한 강의 내용도 소개했다. “제 자랑이 될 것 같아서 안 하려고 했다가…”라면서 2011년 남산 안 의사 기념관에 헌화하고 찍은 사진을 들어 보이기도 했다.

그는 “사실 확인 안 하고 이런 데서 저렇더라 말만 하면 얼마나 제 명예가 훼손됩니까. 저널리즘의 기본이 뭐냐”며 언론의 보도 내용을 문제 삼았다. “제가 너무 흥분했다”고 할 정도로 격앙됐다.

이에 앞서 문 후보자는 출근 때도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다. ‘여권의 사퇴 압박이 심하다’는 질문에 “전혀 그런 이야기 들은 적이 없다”며 서류 가방을 들어 보이면서 “공부하려고 집에 있는 자료를 잔뜩 들고 왔다”고 말했다. 문 후보자는 최근 지인에게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면 나는 대한민국 땅에서 살 수가 없다”며 청문회에서 명예회복을 해야겠다는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고 한다. 청와대와 여당의 부정적인 기류를 전달하는 총리실 실무진에게도 청문회 강행 의지를 밝혔다는 후문이다.

○ 與 “청문위원 하려는 사람 없어”

친박(친박근혜)계 좌장 격인 서청원 의원은 이날도 “(스스로) 물러나는 게 나라와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자진사퇴를 재차 압박했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새누리당 의원 누구도 청문위원으로 참석하려고 하지 않아 청문회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가 버티면 뚜렷한 해법이 없다는 게 여권의 고민이다. 끝까지 사퇴를 거부할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하거나 청문회를 거쳐 국회 표결을 하는 방식뿐이다. 두 가지 모두 큰 부담이다.

대통령이 공직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 것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6년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가 유일하다. 그 외에는 모두 자진사퇴라는 형식을 취했다. 전 전 후보자도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지명 철회를 요청해 대통령이 수락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후보자의 반발이 거세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지명 철회를 한 경우는 없다. 대통령 스스로 인사 실패를 자인하는 것이어서 후폭풍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통령이 임명동의안을 재가한 뒤 청문회와 국회 표결까지 가는 것도 쉽지 않다. 여당 분위기를 고려할 때 표결을 통과할 가능성이 적은 데다 표결까지는 2주 이상 시간이 걸려 국정 공백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



○ 靑, 후폭풍 대비에 골머리

청와대는 문 후보자 낙마 이후를 대비하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의 거취가 최대 고민이다. 김 비서실장 유임을 전제로 내각과 청와대 개편을 이미 마친 상황이라 향후 국정운영 계획이 모두 헝클어질 수밖에 없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인선 시스템을 개선해 김 비서실장을 살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인선 책임론을 피할 명분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 고민이다. 무엇보다 대통령과 호흡이 맞으면서도 장악력도 있어야 하는 비서실장의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후임 국무총리 콘셉트도 고민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 수습 과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을 추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세월호 수습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르다는 반론도 나온다. 청문회 통과 경험이 있는 명망가형으로 하자는 의견, 야권 인사 영입으로 국면 전환을 꾀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

“청문회 가겠다”… 사퇴 가능성 일축

“하루 종일 청문회 준비를 위해서 공부했습니다. 내일 또 여러분을 뵙겠습니다.”

19일 오후 6시,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퇴근길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그는 “안중근 의사처럼, 소년 다윗처럼 용기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자진사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20분 동안 내내 자신을 둘러싼 친일 논란에 대해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박근혜 대통령 귀국일(21일)이 다가오지만 여권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 文, “정말 떳떳해”

문 후보자는 기자들 앞에 종이 여러 장을 들고 나타났다. 그는 “우리 현대 인물사 가운데 가장 존경하는 분은 안중근 의사님과 도산 안창호 선생님”이라며 2009년 안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저격 100주년을 맞아 썼던 자신의 칼럼을 읽어내려 갔다. 이어 “왜 저한테 친일이다, 반민족이다, 이런 얘기를 하는지 정말로 가슴이 아프다”고도 했다.

안 의사의 애국심을 칭송한 강의 내용도 소개했다. “제 자랑이 될 것 같아서 안 하려고 했다가…”라면서 2011년 남산 안 의사 기념관에 헌화하고 찍은 사진을 들어 보이기도 했다.

그는 “사실 확인 안 하고 이런 데서 저렇더라 말만 하면 얼마나 제 명예가 훼손됩니까. 저널리즘의 기본이 뭐냐”며 언론의 보도 내용을 문제 삼았다. “제가 너무 흥분했다”고 할 정도로 격앙됐다.

이에 앞서 문 후보자는 출근 때도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다. ‘여권의 사퇴 압박이 심하다’는 질문에 “전혀 그런 이야기 들은 적이 없다”며 서류 가방을 들어 보이면서 “공부하려고 집에 있는 자료를 잔뜩 들고 왔다”고 말했다. 문 후보자는 최근 지인에게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면 나는 대한민국 땅에서 살 수가 없다”며 청문회에서 명예회복을 해야겠다는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고 한다. 청와대와 여당의 부정적인 기류를 전달하는 총리실 실무진에게도 청문회 강행 의지를 밝혔다는 후문이다.

○ 與 “청문위원 하려는 사람 없어”

친박(친박근혜)계 좌장 격인 서청원 의원은 이날도 “(스스로) 물러나는 게 나라와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자진사퇴를 재차 압박했다.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새누리당 의원 누구도 청문위원으로 참석하려고 하지 않아 청문회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가 버티면 뚜렷한 해법이 없다는 게 여권의 고민이다. 끝까지 사퇴를 거부할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하거나 청문회를 거쳐 국회 표결을 하는 방식뿐이다. 두 가지 모두 큰 부담이다.

대통령이 공직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 것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6년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가 유일하다. 그 외에는 모두 자진사퇴라는 형식을 취했다. 전 전 후보자도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지명 철회를 요청해 대통령이 수락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후보자의 반발이 거세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지명 철회를 한 경우는 없다. 대통령 스스로 인사 실패를 자인하는 것이어서 후폭풍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통령이 임명동의안을 재가한 뒤 청문회와 국회 표결까지 가는 것도 쉽지 않다. 여당 분위기를 고려할 때 표결을 통과할 가능성이 적은 데다 표결까지는 2주 이상 시간이 걸려 국정 공백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



○ 靑, 후폭풍 대비에 골머리

청와대는 문 후보자 낙마 이후를 대비하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의 거취가 최대 고민이다. 김 비서실장 유임을 전제로 내각과 청와대 개편을 이미 마친 상황이라 향후 국정운영 계획이 모두 헝클어질 수밖에 없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인선 시스템을 개선해 김 비서실장을 살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인선 책임론을 피할 명분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 고민이다. 무엇보다 대통령과 호흡이 맞으면서도 장악력도 있어야 하는 비서실장의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후임 국무총리 콘셉트도 고민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 수습 과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을 추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세월호 수습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르다는 반론도 나온다. 청문회 통과 경험이 있는 명망가형으로 하자는 의견, 야권 인사 영입으로 국면 전환을 꾀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