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신어 334개 발표…뇌섹남·금사빠녀·앵그리맘 포함 “외래어 기반 64%”

등록 2015.03.26.
국립국어원, 신어 334개 발표…뇌섹남·금사빠녀·앵그리맘 포함 “외래어 기반 64%”

국립국어원이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일간지 등 온오프라인 대중 매체 139개에 등장한 334개의 새 낱말(신어)를 선정해 25일 발표했다.

국립국어원은 이번 2014년 신어 자료집에 ‘눔프족’(복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복지 비용을 위한 증세에는 반대하는 사람), ‘일자리 절벽’(구직자가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뇌섹남’(‘뇌가 섹시한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주관이 뚜렷하고 언변이 뛰어나며 유머가 있고 지적인 매력이 있는 남자)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는 신어들을 수록했다.

이번 신어에는 특정 행동 양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무리를 가리키는 어휘가 27%(92개)나 됐다.

실속 있는 소비 경향과 관련된 ‘모루밍족’(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세히 살펴본 뒤, 모바일 쇼핑을 하는 사람), 숨 가쁜 일상이 반영된 ‘출퇴근 쇼핑족’(출퇴근을 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따위로 쇼핑을 하는 사람) 등과, 사회 경제적 문제를 반영한 ‘오포 세대’(생활고 때문에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주택 구입을 포기한 세대), ‘앵그리맘’(자녀의 교육과 관련한 사회 문제에 분노하여 적극적으로 그 해결에 참여하는 여성) 등이 예이다.

그리고 ‘금사빠녀’(‘금방 사랑에 빠지는 여자’를 줄여 이르는 말), ‘꼬돌남’(‘꼬시고 싶은 돌아온 싱글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등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남녀의 특징을 반영한 어휘도 등장했다.

이렇게 특정 부류를 가리키는 접사로는 ‘-족(族)’, ‘-남(男)’, ‘-녀(女)’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앵그리맘’과 같은 외래어를 기반으로 만든 신어의 비율도 64%로 높게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사회·경제(24%, 80개), 통신(14%, 47개)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지속된 경기 불황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한 ‘임금 절벽’(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데 반하여 임금은 오르지 않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거 절벽’(급격하게 오른 주거 비용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디 공포’(통화량의 축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에 대하여 느끼는 공포) 등이 그 예이며, 특히 우리 사회를 ‘일자리 절벽’, ‘재벌 절벽’, ‘창업 절벽’ 등으로 설명한 ‘절벽사회’(고재학 저)에서 유래한 ‘절벽’계 어휘들이 다수 등장했다.

스마트폰과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먹스타그램’(자신이 먹은 음식 사진을 누리 소통망 서비스에 올리는 일), ‘인생짤’(그 사람의 인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로 잘 나온 사진), ‘광삭’(빛의 속도와 같이 매우 빠르게 삭제함) 등 통신 관련 어휘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맛저’(‘맛있는 저녁’을 줄여 이르는 말), ‘부먹파’(탕수육을 먹을 때에 튀긴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소스에 찍어 먹는 것에 반하여, 튀긴 고기 위에 소스를 부어 먹는 사람의 무리) 등 음식 관련 어휘, ‘돼지맘’(은어로, 교육열이 매우 높고 사교육에 대한 정보에 정통하여 다른 어머니들을 이끄는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동봉진’(‘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을 줄여 이르는 말) 등 교육 관련 어휘들도 나타났다.

감정을 표현하는 신어도 10개가 확인되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고급지다’(고급스러운 멋이 있다), ‘심멎’(심장이 멎을 만큼 멋지거나 아름답다는 말), ‘핵꿀잼’(매우 많이 재미있음) 등의 긍정적 어휘가 8개인 반면에 ‘노관심’(관심이 없음), ‘극혐오하다’(아주 싫어하고 미워하다)와 같은 부정적 어휘는 2개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최근 불경기와 취업난에 비추어 보면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은 매해 조사 전 12개월에 걸쳐 발간된 대중 매체의 언어를 대상으로 자동 신어 조사기를 활용하여 신어 후보 항목을 추출하고, 비속어 제외 등의 신어 선정 기준에 따라 그해 신어를 최종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신어는 이후 지속적인 사용 양상을 관찰하여 사전의 등재 여부 및 표준어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2014년 신어 자료집은 국립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1994년부터 구축한 신어를 국민 참여형 웹사전으로 개발 중인 ‘우리말샘’(2016년 개통 예정)에 포함시켜 공개할 계획이다.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studio@donga.com

국립국어원, 신어 334개 발표…뇌섹남·금사빠녀·앵그리맘 포함 “외래어 기반 64%”

국립국어원이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일간지 등 온오프라인 대중 매체 139개에 등장한 334개의 새 낱말(신어)를 선정해 25일 발표했다.

국립국어원은 이번 2014년 신어 자료집에 ‘눔프족’(복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복지 비용을 위한 증세에는 반대하는 사람), ‘일자리 절벽’(구직자가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뇌섹남’(‘뇌가 섹시한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주관이 뚜렷하고 언변이 뛰어나며 유머가 있고 지적인 매력이 있는 남자)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는 신어들을 수록했다.

이번 신어에는 특정 행동 양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무리를 가리키는 어휘가 27%(92개)나 됐다.

실속 있는 소비 경향과 관련된 ‘모루밍족’(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세히 살펴본 뒤, 모바일 쇼핑을 하는 사람), 숨 가쁜 일상이 반영된 ‘출퇴근 쇼핑족’(출퇴근을 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따위로 쇼핑을 하는 사람) 등과, 사회 경제적 문제를 반영한 ‘오포 세대’(생활고 때문에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주택 구입을 포기한 세대), ‘앵그리맘’(자녀의 교육과 관련한 사회 문제에 분노하여 적극적으로 그 해결에 참여하는 여성) 등이 예이다.

그리고 ‘금사빠녀’(‘금방 사랑에 빠지는 여자’를 줄여 이르는 말), ‘꼬돌남’(‘꼬시고 싶은 돌아온 싱글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등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남녀의 특징을 반영한 어휘도 등장했다.

이렇게 특정 부류를 가리키는 접사로는 ‘-족(族)’, ‘-남(男)’, ‘-녀(女)’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앵그리맘’과 같은 외래어를 기반으로 만든 신어의 비율도 64%로 높게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사회·경제(24%, 80개), 통신(14%, 47개)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지속된 경기 불황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한 ‘임금 절벽’(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데 반하여 임금은 오르지 않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거 절벽’(급격하게 오른 주거 비용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디 공포’(통화량의 축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에 대하여 느끼는 공포) 등이 그 예이며, 특히 우리 사회를 ‘일자리 절벽’, ‘재벌 절벽’, ‘창업 절벽’ 등으로 설명한 ‘절벽사회’(고재학 저)에서 유래한 ‘절벽’계 어휘들이 다수 등장했다.

스마트폰과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먹스타그램’(자신이 먹은 음식 사진을 누리 소통망 서비스에 올리는 일), ‘인생짤’(그 사람의 인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로 잘 나온 사진), ‘광삭’(빛의 속도와 같이 매우 빠르게 삭제함) 등 통신 관련 어휘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맛저’(‘맛있는 저녁’을 줄여 이르는 말), ‘부먹파’(탕수육을 먹을 때에 튀긴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소스에 찍어 먹는 것에 반하여, 튀긴 고기 위에 소스를 부어 먹는 사람의 무리) 등 음식 관련 어휘, ‘돼지맘’(은어로, 교육열이 매우 높고 사교육에 대한 정보에 정통하여 다른 어머니들을 이끄는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동봉진’(‘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을 줄여 이르는 말) 등 교육 관련 어휘들도 나타났다.

감정을 표현하는 신어도 10개가 확인되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고급지다’(고급스러운 멋이 있다), ‘심멎’(심장이 멎을 만큼 멋지거나 아름답다는 말), ‘핵꿀잼’(매우 많이 재미있음) 등의 긍정적 어휘가 8개인 반면에 ‘노관심’(관심이 없음), ‘극혐오하다’(아주 싫어하고 미워하다)와 같은 부정적 어휘는 2개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최근 불경기와 취업난에 비추어 보면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은 매해 조사 전 12개월에 걸쳐 발간된 대중 매체의 언어를 대상으로 자동 신어 조사기를 활용하여 신어 후보 항목을 추출하고, 비속어 제외 등의 신어 선정 기준에 따라 그해 신어를 최종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신어는 이후 지속적인 사용 양상을 관찰하여 사전의 등재 여부 및 표준어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2014년 신어 자료집은 국립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1994년부터 구축한 신어를 국민 참여형 웹사전으로 개발 중인 ‘우리말샘’(2016년 개통 예정)에 포함시켜 공개할 계획이다.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studio@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

  1. 이불…울어라 열풍아 Cover by 김미자(원곡 이미자 / Aerophone player)
    재생03:29
    1
    올댓트로트이불…울어라 열풍아 Cover by 김미자(원곡 이미자 / Aerophone player)
  2. 드디어 문동주가 웃었다! 길었던 부진 탈출
    재생22:41
    2
    야구플러스드디어 문동주가 웃었다! 길었던 부진 탈출
  3. (궁 셰프 타임) 뜸부기 & 미역으로 만드는 극강의 고소함! 「뜸부기미역국」 비법 공개! MBN 250629 방송
    재생08:43
    3
    알토란(궁 셰프 타임) 뜸부기 & 미역으로 만드는 극강의 고소함! 「뜸부기미역국」 비법 공개! MBN 250629 방송
  4. [7월 6일 예고] “제 아내 잘 부탁드려요” 이상민, 최초 공개하는 아내와 시험관 임신 여부 결과 듣는 날!
    재생01:29
    4
    미운 우리 새끼[7월 6일 예고] “제 아내 잘 부탁드려요” 이상민, 최초 공개하는 아내와 시험관 임신 여부 결과 듣는 날!
  5. 하루 수면 3시간의 역대급 독기 고등학생, 덕분에 부모님은 베란다로 안방 출입?!
    재생05:01
    5
    성적을 부탁해 티처스2하루 수면 3시간의 역대급 독기 고등학생, 덕분에 부모님은 베란다로 안방 출입?!
  6. 함은정, 강경헌&이가령에 경고! “ 피붙이가 제일 무서운 거 아시죠? ” [여왕의 집] | KBS 250630 방송
    재생03:10
    6
    여왕의 집함은정, 강경헌&이가령에 경고! “ 피붙이가 제일 무서운 거 아시죠? ” [여왕의 집] | KBS 250630 방송
  7. \
    재생07:33
    7
    이제 만나러 갑니다'김일성종합대학' 출신 엘리트에게 쏟아진 러브콜, 대뜸 일본행을 선택하게 된 박진희?
  8. "지금 학원을 다녀서 달라질 게 있나...?" 유학을 안보내준 엄마에게 비수를 꽂는 딸
    재생04:31
    8
    성적을 부탁해 티처스2"지금 학원을 다녀서 달라질 게 있나...?" 유학을 안보내준 엄마에게 비수를 꽂는 딸
  9. "어머니가 보육원에 계셨던 건 알고 있지?"신슬기에게 배해선의 사정을 설명해 주는 윤박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 | KBS 250629 방송
    재생02:07
    9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어머니가 보육원에 계셨던 건 알고 있지?"신슬기에게 배해선의 사정을 설명해 주는 윤박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 | KBS 250629 방송
  10. [7월 7일 예고] ‘NEW 운명 부부’ 박지윤×정형석, 17년째 전쟁 같은 성우들의 일상
    재생02:56
    10
    동상이몽2_너는 내 운명[7월 7일 예고] ‘NEW 운명 부부’ 박지윤×정형석, 17년째 전쟁 같은 성우들의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