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美상하원 합동연설…위안부 대신 ‘전쟁 겪은 여성’ 표현

등록 2015.04.30.
[아베 日총리 訪美]

아베, 美상하원 합동연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9일(현지 시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위안부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하지 않고 넘어갔다.

아베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과거사 문제에 대해 “내 생각은 역대 총리와 전혀 다르지 않다”며 식민지배를 인정한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를 형식적으로는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무라야마 담화의 4대 핵심 키워드인 △식민지배 △침략 △통절한 반성 △사죄 중에서 ‘통절한 반성(deep remorse)’만 이번 연설에 언급했다.

앞선 담화가 인정했던 침략과 식민지배라는 표현을 ‘앞선 대전(post war)’과 ‘스스로의 행동(our actions)’으로 대체한 것은 한국과 중국 등 과거사의 피해자의 입장이 아니라 가해자인 일본이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객관적인 표현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아시아 국가들의 분노를 자아낼 것이 확실하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 인정과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 요구를 무시했다.

그 대신 다른 단어나 문장을 열거하며 청중의 관심을 돌렸다.

교묘한 말 바꿔치기는 위안부를 연상시키는 대목에서 선보였다. 그는 연설문 7쪽 ‘일본의 새로운 깃발’이라는 항목에서 위안부 대신 ‘전쟁을 겪은 여성’을 묘사하면서 “무력 충돌은 항상 여성을 가장 괴롭혀 왔다”고 말했다. 일본이 저지른 태평양전쟁뿐만 아니라 ‘모든 전쟁에서 여성의 고통이 가장 컸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



이 문장 바로 다음에서는 “우리 시대에는 마침내 여성이 인권 침해에서 해방되는 세계를 실현해야 한다”며 미래의 추상적인 의무로 건너뛰었다. 이 과정에서 위안부가 겪은 고통은 빠져 있으며, 그 고통을 어떻게 치유해야 하는지도 생략됐다.

식민지배나 침략이란 단어가 빠진 자리에는 ‘냉전’이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5쪽 ‘전후 평화와 일본의 선택’이라는 항목에서 일본이 올바른 선택을 했다고 강조하는 대목에서 “우리는 결국 미국과 함께 냉전에서 승리했다. 그 길이 일본의 성장과 번영을 가져왔다”고 했다. 식민지배나 침략을 언급하려면 태평양전쟁 얘기가 나와야 한다. 그렇지만 아베 총리의 연설에서 태평양전쟁은 단순한 ‘전쟁(the war)’이라는 한 단어로 언급돼 있을 뿐이다. 태평양전쟁 자리를 ‘미국과 함께 싸운 냉전’이 채우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아베 총리는 이날 ‘한국(Republic of Korea)’을 두 번 언급했다. 전후 일본을 설명하며 “미국이 시장을 개방해 세계 경제에 자유를 불어넣어 만든 전후 경제시스템에 가장 일찍부터 최대 이익을 누린 국가는 일본”이라고 말한 뒤 “1980년대 이후 한국, 대만,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중국이 부흥했다. 일본도 자본 기술을 헌신적으로 쏟아 그 국가들의 성장을 지지했다”고 말했다. 일본 외무성의 선전처럼 이번에도 한국 성장에 일본이 기여한 것처럼 묘사한 것이다.

또 “평화와 안보를 위한 미국의 노력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말한 뒤 “일본이 많은 분야에서 아세안 국가 및 한국과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의 우려와 달리 한국과 협력하고 있다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한 레토릭으로 보인다. ‘갈등’ 대신 ‘협력’을 강조한 것도 바꿔치기 기법의 일종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아베 총리는 한국 중국 등 아시아의 전쟁 피해국의 사과 요구는 묵살했지만 일본이 진주만 공습으로 개시했던 대미(對美) 전쟁에 대해서는 절절한 사과로 일관했다.

“연설장에 오기 전 제2차 세계대전 기념비에 들렀다. 젊은 나이에 참전했던 미군들의 고통과 슬픔,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 진주만 등 기념비에 새겨져 있던 미군의 유명한 전투들이 내 가슴속에도 새겨졌다. 전투에서 사망한 젊은 미군들의 잃어버린 꿈과 미래에 대해 깊은 생각을 했다.”

미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전후 세계의 평화와 안보는 미국의 리더십 없이는 가능하지 않았다”며 “회고해 보면 일본이 (미국을 따르기로 한) 과거의 선택이 옳았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할수록 행복하다”며 미국을 찬양했다.

이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re-balance) 정책에 대해서도 강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나는 명백하게 말할 수 있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강화하기 위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지지할 것이다.”

이어 안보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으로 한층 강고해진 미일 군사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의 이행에 필요한 국내 법제 정비를 올해 여름까지 마무리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본은 괌에 있는 미군기지를 향상시키는 데 28억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경제적 부담 계획까지 밝혔다.

지역 안보와 관련해서는 역내 해상안보를 위한 3대 원칙을 천명해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 확장 야욕을 우회적으로 경계했다. “(중국 등) 국가들은 자신의 주장을 국제법에 근거해서 주장해야 하며 폭력이나 강압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분쟁의 해결은 평화적인 방법에 따라야 한다.”

워싱턴=신석호 특파원 kyle@donga.com

[아베 日총리 訪美]

아베, 美상하원 합동연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9일(현지 시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위안부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하지 않고 넘어갔다.

아베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과거사 문제에 대해 “내 생각은 역대 총리와 전혀 다르지 않다”며 식민지배를 인정한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를 형식적으로는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무라야마 담화의 4대 핵심 키워드인 △식민지배 △침략 △통절한 반성 △사죄 중에서 ‘통절한 반성(deep remorse)’만 이번 연설에 언급했다.

앞선 담화가 인정했던 침략과 식민지배라는 표현을 ‘앞선 대전(post war)’과 ‘스스로의 행동(our actions)’으로 대체한 것은 한국과 중국 등 과거사의 피해자의 입장이 아니라 가해자인 일본이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객관적인 표현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아시아 국가들의 분노를 자아낼 것이 확실하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 인정과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 요구를 무시했다.

그 대신 다른 단어나 문장을 열거하며 청중의 관심을 돌렸다.

교묘한 말 바꿔치기는 위안부를 연상시키는 대목에서 선보였다. 그는 연설문 7쪽 ‘일본의 새로운 깃발’이라는 항목에서 위안부 대신 ‘전쟁을 겪은 여성’을 묘사하면서 “무력 충돌은 항상 여성을 가장 괴롭혀 왔다”고 말했다. 일본이 저지른 태평양전쟁뿐만 아니라 ‘모든 전쟁에서 여성의 고통이 가장 컸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



이 문장 바로 다음에서는 “우리 시대에는 마침내 여성이 인권 침해에서 해방되는 세계를 실현해야 한다”며 미래의 추상적인 의무로 건너뛰었다. 이 과정에서 위안부가 겪은 고통은 빠져 있으며, 그 고통을 어떻게 치유해야 하는지도 생략됐다.

식민지배나 침략이란 단어가 빠진 자리에는 ‘냉전’이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5쪽 ‘전후 평화와 일본의 선택’이라는 항목에서 일본이 올바른 선택을 했다고 강조하는 대목에서 “우리는 결국 미국과 함께 냉전에서 승리했다. 그 길이 일본의 성장과 번영을 가져왔다”고 했다. 식민지배나 침략을 언급하려면 태평양전쟁 얘기가 나와야 한다. 그렇지만 아베 총리의 연설에서 태평양전쟁은 단순한 ‘전쟁(the war)’이라는 한 단어로 언급돼 있을 뿐이다. 태평양전쟁 자리를 ‘미국과 함께 싸운 냉전’이 채우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

아베 총리는 이날 ‘한국(Republic of Korea)’을 두 번 언급했다. 전후 일본을 설명하며 “미국이 시장을 개방해 세계 경제에 자유를 불어넣어 만든 전후 경제시스템에 가장 일찍부터 최대 이익을 누린 국가는 일본”이라고 말한 뒤 “1980년대 이후 한국, 대만,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중국이 부흥했다. 일본도 자본 기술을 헌신적으로 쏟아 그 국가들의 성장을 지지했다”고 말했다. 일본 외무성의 선전처럼 이번에도 한국 성장에 일본이 기여한 것처럼 묘사한 것이다.

또 “평화와 안보를 위한 미국의 노력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말한 뒤 “일본이 많은 분야에서 아세안 국가 및 한국과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의 우려와 달리 한국과 협력하고 있다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한 레토릭으로 보인다. ‘갈등’ 대신 ‘협력’을 강조한 것도 바꿔치기 기법의 일종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아베 총리는 한국 중국 등 아시아의 전쟁 피해국의 사과 요구는 묵살했지만 일본이 진주만 공습으로 개시했던 대미(對美) 전쟁에 대해서는 절절한 사과로 일관했다.

“연설장에 오기 전 제2차 세계대전 기념비에 들렀다. 젊은 나이에 참전했던 미군들의 고통과 슬픔,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 진주만 등 기념비에 새겨져 있던 미군의 유명한 전투들이 내 가슴속에도 새겨졌다. 전투에서 사망한 젊은 미군들의 잃어버린 꿈과 미래에 대해 깊은 생각을 했다.”

미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전후 세계의 평화와 안보는 미국의 리더십 없이는 가능하지 않았다”며 “회고해 보면 일본이 (미국을 따르기로 한) 과거의 선택이 옳았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할수록 행복하다”며 미국을 찬양했다.

이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재균형(re-balance) 정책에 대해서도 강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나는 명백하게 말할 수 있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강화하기 위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지지할 것이다.”

이어 안보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으로 한층 강고해진 미일 군사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의 이행에 필요한 국내 법제 정비를 올해 여름까지 마무리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본은 괌에 있는 미군기지를 향상시키는 데 28억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경제적 부담 계획까지 밝혔다.

지역 안보와 관련해서는 역내 해상안보를 위한 3대 원칙을 천명해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 확장 야욕을 우회적으로 경계했다. “(중국 등) 국가들은 자신의 주장을 국제법에 근거해서 주장해야 하며 폭력이나 강압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분쟁의 해결은 평화적인 방법에 따라야 한다.”

워싱턴=신석호 특파원 kyle@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