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정책이 ‘특효약’” 헛소리 할 대선주자는 누구?
등록 2007.02.14.13, 14일 이틀간 열린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여러 논문들에는 우울한 진단이 많습니다. 단기 경제지표를 풀이한 게 아니라 환란 이후 10년의 우리 경제를 평가한 것입니다.
박영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는 우리 경제가 성장동력을 잃고 잠재성장률도 하향세여서 외환위기 이전의 고(高)성장 재현은 불가능하다고 내다봤습니다. 그러지 않아도 한국은행은 잠재성장률이 2001~2004년 평균 4.8%에서 2005~2014년엔 나쁠 경우 4.0%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성장 동력을 한번 잃으면 재점화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성장세 위축은 균형발전에 집착하는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강화해 투자회복이 지연된 탓이 큽니다. 1년 이상 끌고도 수도권 공장 증설 허가를 받지 못한 하이닉스반도체가 단적인 사례입니다. 그나마 설비투자를 이끌어온 600대 기업의 투자증가율이 전년의 17%에서 올해는 5%로 추락할 것이란 설문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하기 좋은 여건’ 만들기는 구호에 그쳤습니다. 기업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업규제를 풀어야 한 기업규제는 2003년 3월 7794개에서 최근 8083개로 오히려 289개 늘어났습니다. 김태준 동덕여대 교수, 유재원 건국대 교수는 “노 정부는 시장을 억압하는 조치를 지속하거나 강화해 서비스산업 등에서 공급애로가 발생했다”며 형평성 중시 정책의 잘못을 비판했습니다. 이런 정책의 결과 부동산, 교육, 금융, 관광 등 부문에서 해외소비가 급증했다는 지적입니다.
정운찬 서울대 교수는 “노 정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경제상황은 그대로이거나 심지어 악화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 결과 경제가 총체적인 혼선에 빠지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그는 “노 정부 4년간 대부분 국민이 잠재적인 투기꾼이자 피해자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현 정부가 한 달이 멀다하고 쏟아낸 부동산 대책이 시장논리를 무시했다가 실패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올해 대선을 맞아 포퓰리즘, 즉 대중영합적인 정책이 많이 나타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정치꾼들이 ‘특효약’이라고 떠들어댈 검증되지 않은 요법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마침 한국경제학회에서 대선 후보들의 경제공약을 검증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중립적인 공약 평가를 통해 과거처럼 표만을 노린 헛소리가 발붙이지 못하게 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환란 이후 10년 평가에 관해 말씀드렸습니다.
홍권희 논설위원 konihong@donga.com
외환위기 후 10년이 지났습니다. 일부 국제기구에서는 한국이 구조조정을 통해 위기를 잘 넘긴 모범국가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 경제는 안정적인 성장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여전히 상당한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13, 14일 이틀간 열린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여러 논문들에는 우울한 진단이 많습니다. 단기 경제지표를 풀이한 게 아니라 환란 이후 10년의 우리 경제를 평가한 것입니다.
박영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는 우리 경제가 성장동력을 잃고 잠재성장률도 하향세여서 외환위기 이전의 고(高)성장 재현은 불가능하다고 내다봤습니다. 그러지 않아도 한국은행은 잠재성장률이 2001~2004년 평균 4.8%에서 2005~2014년엔 나쁠 경우 4.0%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성장 동력을 한번 잃으면 재점화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성장세 위축은 균형발전에 집착하는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강화해 투자회복이 지연된 탓이 큽니다. 1년 이상 끌고도 수도권 공장 증설 허가를 받지 못한 하이닉스반도체가 단적인 사례입니다. 그나마 설비투자를 이끌어온 600대 기업의 투자증가율이 전년의 17%에서 올해는 5%로 추락할 것이란 설문조사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하기 좋은 여건’ 만들기는 구호에 그쳤습니다. 기업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업규제를 풀어야 한 기업규제는 2003년 3월 7794개에서 최근 8083개로 오히려 289개 늘어났습니다. 김태준 동덕여대 교수, 유재원 건국대 교수는 “노 정부는 시장을 억압하는 조치를 지속하거나 강화해 서비스산업 등에서 공급애로가 발생했다”며 형평성 중시 정책의 잘못을 비판했습니다. 이런 정책의 결과 부동산, 교육, 금융, 관광 등 부문에서 해외소비가 급증했다는 지적입니다.
정운찬 서울대 교수는 “노 정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경제상황은 그대로이거나 심지어 악화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 결과 경제가 총체적인 혼선에 빠지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그는 “노 정부 4년간 대부분 국민이 잠재적인 투기꾼이자 피해자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현 정부가 한 달이 멀다하고 쏟아낸 부동산 대책이 시장논리를 무시했다가 실패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올해 대선을 맞아 포퓰리즘, 즉 대중영합적인 정책이 많이 나타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정치꾼들이 ‘특효약’이라고 떠들어댈 검증되지 않은 요법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마침 한국경제학회에서 대선 후보들의 경제공약을 검증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중립적인 공약 평가를 통해 과거처럼 표만을 노린 헛소리가 발붙이지 못하게 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환란 이후 10년 평가에 관해 말씀드렸습니다.
홍권희 논설위원 konihong@donga.com
유튜브 채널
VODA 인기 동영상
- 재생01:141가면의 여왕[예고] "그놈이 뭔가를 알고 있는 것 같아.." 서로를 쫓는 오지호와 송영창! 김선아를 지킬 사람은?!
- 재생00:252JTBC STARJTBC와 함께 하는 현충일 | 기념일 캠페인
- 재생03:383가면의 여왕"CCTV 영상, 내가 없앤거 맞아" 유일하게 믿었던 오지호를 의심하기 시작하는 김선아?!
- 재생03:284가면의 여왕"엄마, 내 이름으로 돈 받았어?" 100억이 오갔던 이정진과 유선 엄마의 은밀한 관계?!(o0o)
- 재생05:015가면의 여왕기도식 사망 당일, CCTV를 조작한 사람을 만난 오지호!? 점점 좁혀지는 기도식 사건의 진범
- 재생10:056가면의 여왕이정진의 반전 부검 결과! 김선아 아빠의 수상한 커넥션 #가면의여왕 #김선아 #오윤아
- 재생03:407동상이몽2_너는 내 운명‘최병모 어머니’ 이영옥, 이규인 생각하는 진짜 속마음
- 재생00:398신발 벗고 돌싱포맨[티저] 돌싱 슈퍼스타의 탄생, 돌싱스타
- 재생04:079생생 정보마당K-입맛으로 재탄생! 네팔 요리! MBN 230605 방송
- 재생02:3610오은영 리포트 - 결혼 지옥"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부부를 웃음 짓게 만든 완벽한 오은영 박사의 사이다 솔루션!, MBC 230605 방송
- 재생20:521낭만닥터 김사부 3[11-12회 요약] “저 돌아왔습니다” 한석규의 ‘플랜A’ 유연석, 돌담병원으로 컴백
- 재생03:142낭만닥터 김사부 3[컴백 엔딩] “오랜만입니다, 선생님” 돌담병원으로 다시 돌아온 유연석!
- 재생02:493라디오스타'회당 50만 원' 댄스 서바이벌을 접수한 댄스 동아리 출신 김대호의 춤 실력!, MBC 230531 방송
- 재생05:364예썰의 전당마그리트 vs 달리 전격 비교 분석! 마그리트의 신사 그림? | KBS 230603 방송
- 재생05:275예썰의 전당초 현실주의에 빠진 마그리트! 달리와의 차이점? | KBS 230603 방송
- 재생00:326낭만닥터 김사부 3[13회 예고] “사부님을 좀 이겨볼까 하고” 돌담병원에 돌아온 유연석의 남다른 다짐
- 재생05:317예썰의 전당신사의 품격! 원근법을 이용한 그의 작품 방식 | KBS 230603 방송
- 재생01:148가면의 여왕[예고] "그놈이 뭔가를 알고 있는 것 같아.." 서로를 쫓는 오지호와 송영창! 김선아를 지킬 사람은?!
- 재생23:219댄스가수 유랑단[진해군항제]모든 세대의 학창 시절이 다 있는 명곡 모음zip.. #highlight
- 재생03:4610불타는 장미단원곡자 홍진영도 감탄한 무대! 기립 박수가 절로 나오네 '-'b 에녹 눈물비 MBN 230523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