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논평 : 창의력 죽이는 사회

등록 2009.09.08.
`개미`, `뇌`, `신` 등의 작품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48)가 7일 고려대 학생을 상대로 `창의력`에 대한 강연을 했습니다. 열여섯 살부터 아침마다 4시간씩 글 쓰는 습관을 들였다는 그는 "상상력이라는 것도 습관과 훈련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며 창의성의 첫째 요건으로 `규칙적 생활`을 꼽았습니다.

얼핏 보면 규칙적 생활과 창의력은 배치되는 것 같습니다만 규칙적이고 절제된 생활이 창의력의 원천임을 많은 작가들이 증명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숲`의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매일 마라톤을 합니다. 작가 김탁환은 매일 오전 무조건 5시간은 쓰는 `소설 노동자`를 자처합니다. 써내는 작품마다 베스트셀러인 스릴러작가 스티븐 킹은 생각이 안 떠오르고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언제나 같은 시간에 책상에 앉는다고 합니다.

베르베르는 또 어떤 제약에서든 벗어날 줄 아는 자유로움을 창의성의 둘째 요건으로 꼽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창의성을 훈련하고 창의력을 발휘하기가 참 어려운 사회입니다. 편 가르기와 쏠림현상이 심하고 유교문화의 잔재 때문에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살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몇 년 전부터 우리 사회에도 창의성 붐이 일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창의시정을 내걸고 있고,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합니다. 그러나 실상은 딴판입니다. 외국대학들은 한국 유학생이 유달리 창의성이 떨어진다고 말하고 기업에선 대학생들이 영어점수 등 스펙은 좋아도 창의력과 사고력을 떨어진다고 목소리가 나옵니다.

학자들은 창의성은 무의식에서 비롯되며 타고나는 자질이며 소수 영재에게만 나타난다는 것은 잘못된 믿음이라고 합니다. 창의성은 순간적으로 번뜩이는 아이디어의 출현만이 아니라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그 행위가 발생하는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죠. 그런 점에서 양극화가 심해지는 사회에서 창의적 인재가 되라는 사회적 압력은 모순입니다. 내편, 네 편을 나누어 서로 헐뜯는 사회에서 창의적 생각, 독창적 사고가 나오길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개미`, `뇌`, `신` 등의 작품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48)가 7일 고려대 학생을 상대로 `창의력`에 대한 강연을 했습니다. 열여섯 살부터 아침마다 4시간씩 글 쓰는 습관을 들였다는 그는 "상상력이라는 것도 습관과 훈련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며 창의성의 첫째 요건으로 `규칙적 생활`을 꼽았습니다.

얼핏 보면 규칙적 생활과 창의력은 배치되는 것 같습니다만 규칙적이고 절제된 생활이 창의력의 원천임을 많은 작가들이 증명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숲`의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매일 마라톤을 합니다. 작가 김탁환은 매일 오전 무조건 5시간은 쓰는 `소설 노동자`를 자처합니다. 써내는 작품마다 베스트셀러인 스릴러작가 스티븐 킹은 생각이 안 떠오르고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언제나 같은 시간에 책상에 앉는다고 합니다.

베르베르는 또 어떤 제약에서든 벗어날 줄 아는 자유로움을 창의성의 둘째 요건으로 꼽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창의성을 훈련하고 창의력을 발휘하기가 참 어려운 사회입니다. 편 가르기와 쏠림현상이 심하고 유교문화의 잔재 때문에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살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몇 년 전부터 우리 사회에도 창의성 붐이 일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창의시정을 내걸고 있고, 교육과학기술부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합니다. 그러나 실상은 딴판입니다. 외국대학들은 한국 유학생이 유달리 창의성이 떨어진다고 말하고 기업에선 대학생들이 영어점수 등 스펙은 좋아도 창의력과 사고력을 떨어진다고 목소리가 나옵니다.

학자들은 창의성은 무의식에서 비롯되며 타고나는 자질이며 소수 영재에게만 나타난다는 것은 잘못된 믿음이라고 합니다. 창의성은 순간적으로 번뜩이는 아이디어의 출현만이 아니라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그 행위가 발생하는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죠. 그런 점에서 양극화가 심해지는 사회에서 창의적 인재가 되라는 사회적 압력은 모순입니다. 내편, 네 편을 나누어 서로 헐뜯는 사회에서 창의적 생각, 독창적 사고가 나오길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