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알아야 전략 세운다

등록 2010.12.21.
(박제균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2월 21일 동아 뉴스 스테이션입니다.

최근 한국과 중국의 갈등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과 상생하고 나아가 윈윈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구가인 앵커) 최근 동아일보에 연재된 ‘중국, 알아야 전략 세운다’라는 시리즈 기사로 관심을 끌고 있는 국제부 하종대 차장과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박 앵커) 하 차장, 기사에 보니까 중국 싱크탱크가 아예 없다는 데, 사실인가요.

(하종대 차장) 현재 중국에 진출한 기업이나 한국의 對중국 수출액, 양국의 유학생이나 관광객 수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연 1위입니다. 비록 양국이 수교한 지는 18년 밖에 안 됐지만 양국의 인적 교류 및 경제의 상호의존도는 미국이나 일본, 유럽 지역 어느 곳보다도 많습니다.

이처럼 중국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게 커졌지만 우리나라엔 중국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기관이 아예 없을 정도입니다. 또 우리나라엔 외교안보연구원이나 통일연구원 국방연구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대외정책연구원 세종연구소 동북아연구재단 등 국가의 장기 전략을 연구하는 연구소가 꽤 있는데요, 경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을 제외하면 중국 연구자가 각각 1, 2명씩에 불과할 정도입니다.

중국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기관이 없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서 대두되자 정부는 15일 부랴부랴 외교안보연구원 내에 ‘중국연구센터’를 설립했지만 소장만을 임명했을 뿐 실제 연구를 진행할 전문 인력은 확보도 안 된 상태입니다.

(구 앵커) 학자나 전문가들의 중국 연구도 적잖은 문제가 있죠?

(하 차장) 네. 매년 생산되는 우리나라의 중국 연구 논문은 미국이나 일본 연구 논문보다 되레 많습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중국 관련 논문은 2만8863건으로 미국의 2만223건이나 일본의 2만5838건보다 많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연구는 적다는 것입니다. 최근 정부가 가장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분야가 對중국 외교인데 우리의 연구는 경제가 36.1%, 어문학이 24%를 차지하는 등 한쪽에 치우쳐 있고 외교 분야는 겨우 2.6%에 불과합니다. 특히 한국연구재단이 1945년 해방 직후부터 지난해까지 65년간 신고 된 외국 박사 현황에 따르면 미국은 2만620명인데 반해 일본은 6012명이었고 중국은 1005명에 불과했습니다. 중국 관련 논문은 현장성이 떨어지는 ‘안방퉁소’형 논문이라는 얘깁니다.

(박 앵커) 우리의 중국 외교라인에도 중국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다면서요?



(하 차장) 참으로 부끄러운 일입니다만, 한국의 류우익 주중 대사는 중국어를 할 줄 모릅니다. 반면 미국의 존 헌츠먼 주중 대사는 중국의 표준어인 푸퉁화(普通話)는 물론이고 지방 말인 광둥어(廣東話)까지 구사할 줄 아는 중국통입니다. 일본의 니와 우이치로 주중 대사 역시 유창한 중국어가 일품입니다. 물론 중국어를 잘 해야만 꼭 對중국 외교를 잘 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개인적 친분인 ‘관시(關係)’를 중시하는 중국에서 중국어를 할 줄 모른다면 외교를 제대로 할 수 있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더욱 큰 문제는 외교통상부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등 우리의 對중국 외교정책을 결정하는 라인에 중국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중국통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對중국 외교라인에 중국통이 없는 것은 그동안 우리의 외교가 미국 중심으로만 진행되면서 ‘잘 나가는 사람’은 중국통이 되고 싶어하지 않고 열심히 중국을 연구한 중국통은 외교부의 주요 보직에서 배제되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기 때문입니다.

(구 앵커) 한쪽에서는 한미동맹을 외교의 중심축으로 놓을 수밖에 없는 한국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데요.

(하 차장) 한미동맹이 한국 외교의 중심축이라는 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지나치게 미국의 시각에 쏠리는 게 문제입니다. 실제로 천안함 폭침 사건이나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때 對중국 외교를 담당하는 쪽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즉 우리의 외교정책 결정자들은 중국을 제대로 모르면서도 중국을 안 보고 안 들으려 한다는 것입니다. 이래서는 제대로 된 對중국 외교를 펼치기 어렵습니다. 중국을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이해관계자로 이끌어내고 대 한반도 정책에서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는 전문가의 처방과 이에 따른 외교가 필요한 것입니다.

(박 앵커) 네, 하 차장. 수고했습니다.

(박제균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2월 21일 동아 뉴스 스테이션입니다.

최근 한국과 중국의 갈등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과 상생하고 나아가 윈윈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구가인 앵커) 최근 동아일보에 연재된 ‘중국, 알아야 전략 세운다’라는 시리즈 기사로 관심을 끌고 있는 국제부 하종대 차장과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박 앵커) 하 차장, 기사에 보니까 중국 싱크탱크가 아예 없다는 데, 사실인가요.

(하종대 차장) 현재 중국에 진출한 기업이나 한국의 對중국 수출액, 양국의 유학생이나 관광객 수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연 1위입니다. 비록 양국이 수교한 지는 18년 밖에 안 됐지만 양국의 인적 교류 및 경제의 상호의존도는 미국이나 일본, 유럽 지역 어느 곳보다도 많습니다.

이처럼 중국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게 커졌지만 우리나라엔 중국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기관이 아예 없을 정도입니다. 또 우리나라엔 외교안보연구원이나 통일연구원 국방연구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대외정책연구원 세종연구소 동북아연구재단 등 국가의 장기 전략을 연구하는 연구소가 꽤 있는데요, 경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을 제외하면 중국 연구자가 각각 1, 2명씩에 불과할 정도입니다.

중국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기관이 없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서 대두되자 정부는 15일 부랴부랴 외교안보연구원 내에 ‘중국연구센터’를 설립했지만 소장만을 임명했을 뿐 실제 연구를 진행할 전문 인력은 확보도 안 된 상태입니다.

(구 앵커) 학자나 전문가들의 중국 연구도 적잖은 문제가 있죠?

(하 차장) 네. 매년 생산되는 우리나라의 중국 연구 논문은 미국이나 일본 연구 논문보다 되레 많습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중국 관련 논문은 2만8863건으로 미국의 2만223건이나 일본의 2만5838건보다 많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연구는 적다는 것입니다. 최근 정부가 가장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분야가 對중국 외교인데 우리의 연구는 경제가 36.1%, 어문학이 24%를 차지하는 등 한쪽에 치우쳐 있고 외교 분야는 겨우 2.6%에 불과합니다. 특히 한국연구재단이 1945년 해방 직후부터 지난해까지 65년간 신고 된 외국 박사 현황에 따르면 미국은 2만620명인데 반해 일본은 6012명이었고 중국은 1005명에 불과했습니다. 중국 관련 논문은 현장성이 떨어지는 ‘안방퉁소’형 논문이라는 얘깁니다.

(박 앵커) 우리의 중국 외교라인에도 중국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다면서요?



(하 차장) 참으로 부끄러운 일입니다만, 한국의 류우익 주중 대사는 중국어를 할 줄 모릅니다. 반면 미국의 존 헌츠먼 주중 대사는 중국의 표준어인 푸퉁화(普通話)는 물론이고 지방 말인 광둥어(廣東話)까지 구사할 줄 아는 중국통입니다. 일본의 니와 우이치로 주중 대사 역시 유창한 중국어가 일품입니다. 물론 중국어를 잘 해야만 꼭 對중국 외교를 잘 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개인적 친분인 ‘관시(關係)’를 중시하는 중국에서 중국어를 할 줄 모른다면 외교를 제대로 할 수 있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더욱 큰 문제는 외교통상부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등 우리의 對중국 외교정책을 결정하는 라인에 중국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중국통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對중국 외교라인에 중국통이 없는 것은 그동안 우리의 외교가 미국 중심으로만 진행되면서 ‘잘 나가는 사람’은 중국통이 되고 싶어하지 않고 열심히 중국을 연구한 중국통은 외교부의 주요 보직에서 배제되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기 때문입니다.

(구 앵커) 한쪽에서는 한미동맹을 외교의 중심축으로 놓을 수밖에 없는 한국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데요.

(하 차장) 한미동맹이 한국 외교의 중심축이라는 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지나치게 미국의 시각에 쏠리는 게 문제입니다. 실제로 천안함 폭침 사건이나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 때 對중국 외교를 담당하는 쪽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즉 우리의 외교정책 결정자들은 중국을 제대로 모르면서도 중국을 안 보고 안 들으려 한다는 것입니다. 이래서는 제대로 된 對중국 외교를 펼치기 어렵습니다. 중국을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이해관계자로 이끌어내고 대 한반도 정책에서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는 전문가의 처방과 이에 따른 외교가 필요한 것입니다.

(박 앵커) 네, 하 차장. 수고했습니다.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