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2위는 ‘애매하다’, 3위는 ‘기스’… 1위는?
등록 2015.05.11.우리의 일상 생활에는 일제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는데,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언어다. 무심결에 쓰는 말 중 일본어가 많이 쓰인다. 그렇다면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일본어는 뭘까.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팀이 공동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일본어 잔재 단어는 ‘구라(거짓말)’로 나타났다.
서 교수 등은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서울·경기지역 남녀 대학생 각 350명씩(총 700명)을 대상으로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알렸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4%p)
‘자신이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일본어 잔재 단어는?(30개 단어 중 5가지 선택)’이라는 질문에 ‘구라(거짓말,405명)’,‘애매하다(모호하다,386명)’, ‘기스(상처,283명)’, ‘간지(멋,211명)’, ‘닭도리탕(닭볶음탕,19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 잔재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매체는?’이라는 다른 질문에는 인터넷(66.7%), TV(25%), 라디오(5.3%), 신문(2.7%) 순으로 집계 돼 무분별하게 쓰이는 인터넷 용어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특히 ‘광복 70주년을 맞는 오늘날까지 일본어 잔재가 사라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에 대해서는 국민의 무관심(27%),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26.6%), 정부의 무관심(26.1%)순으로 결과가 도출됐다.
이에 대해 ‘일본어 잔재를 우리말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는 바꿔야 한다(59.4%),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39%) 등으로 나왔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이라는 물음에는 우리말을 지켜야 하기 때문(35.3%),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26.7%) 등으로 밝혀졌다.
이번 설문을 기획한 서 교수는 “나라를 되찾은 지 70년이 된 지금 상황에서도 우리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일본어 잔재들의 현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점차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모색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범국민 언어문화개선운동 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서경덕 교수는 이번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잔재 청산을 위한 동영상 제작 및 배포, 전국 각 도시별 공연 등을 통해 오는 6월부터 ‘언어문화 개선 캠페인’을 시작할 계획이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소식에 네티즌들은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아무래도 그 단어 일 줄 알았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근데 생각보다 실생활에 많이 쓰이는 일본어가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홍보를 많이 해야 할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우리의 일상 생활에는 일제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는데,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언어다. 무심결에 쓰는 말 중 일본어가 많이 쓰인다. 그렇다면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일본어는 뭘까.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팀이 공동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일본어 잔재 단어는 ‘구라(거짓말)’로 나타났다.
서 교수 등은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서울·경기지역 남녀 대학생 각 350명씩(총 700명)을 대상으로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알렸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4%p)
‘자신이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일본어 잔재 단어는?(30개 단어 중 5가지 선택)’이라는 질문에 ‘구라(거짓말,405명)’,‘애매하다(모호하다,386명)’, ‘기스(상처,283명)’, ‘간지(멋,211명)’, ‘닭도리탕(닭볶음탕,19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 잔재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매체는?’이라는 다른 질문에는 인터넷(66.7%), TV(25%), 라디오(5.3%), 신문(2.7%) 순으로 집계 돼 무분별하게 쓰이는 인터넷 용어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특히 ‘광복 70주년을 맞는 오늘날까지 일본어 잔재가 사라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에 대해서는 국민의 무관심(27%),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26.6%), 정부의 무관심(26.1%)순으로 결과가 도출됐다.
이에 대해 ‘일본어 잔재를 우리말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는 바꿔야 한다(59.4%), 그대로 사용해도 무관하다(39%) 등으로 나왔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이라는 물음에는 우리말을 지켜야 하기 때문(35.3%),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26.7%) 등으로 밝혀졌다.
이번 설문을 기획한 서 교수는 “나라를 되찾은 지 70년이 된 지금 상황에서도 우리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일본어 잔재들의 현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점차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모색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범국민 언어문화개선운동 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서경덕 교수는 이번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잔재 청산을 위한 동영상 제작 및 배포, 전국 각 도시별 공연 등을 통해 오는 6월부터 ‘언어문화 개선 캠페인’을 시작할 계획이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소식에 네티즌들은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아무래도 그 단어 일 줄 알았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근데 생각보다 실생활에 많이 쓰이는 일본어가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대학생이 많이 쓰는 일본어는, 홍보를 많이 해야 할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영상뉴스팀
유튜브 채널
VODA 인기 동영상
- 재생03:071노래가 좋아초대가수 김희재 - 풍악 | KBS 220814 방송
- 재생08:532차이나는 클라스중인으로 최고 출세한 김홍도가 과부 중매로 파직당한 사연은? | JTBC 220814 방송
- 재생00:303각자의 본능대로[3화 예고] 세 명의 여자들과 데이트를 한 후 그의 마음은..?
- 재생05:164지킬박사와 가이드나이 들면 무조건 전립선이 커질까..? (feat. 전립선비대증) | JTBC 220814 방송
- 재생05:175지킬박사와 가이드남성의 자존심 ( •̀∀•́ ) 전립선 건강을 위해 피해야 할 것! | JTBC 220814 방송
- 재생05:516지킬박사와 가이드영조가 '이것'을 먹고 73세에 검은 머리가 났다? 그 정체는↗ | JTBC 220814 방송
- 재생00:157각자의 본능대로[3화 예고] 직진하는 건욱 그리고 부담을 느끼는 민하
- 재생22:568각자의 본능대로더 이상 돌아갈 수 없는 우정, 우리는 사랑을 택했다
- 재생02:2891박 2일 시즌4[선공개] 절대음감 게임의 뜻밖의 치트키는 인우 음감?! | KBS 방송
- 재생23:5710각자의 본능대로그 사람의 마음은 내 친구일까, 나일까..
- 재생04:581나는 몸신이다살도 빼고 널뛰는 혈압도 잡았다?! '이것'을 먹고 고혈압에서 벗어난 몸신?!
- 재생02:062푸어라이크[선공개] 나무 이파리 한 장에 400만 원? 식물에 올인한 식물 푸어가 떴다!
- 재생04:463나 혼자 산다촬영 후 햄버거 먹부림 시작! 규정속도(?) 준수하는 친구와 달리 폭주하는 이장우, MBC 220805 방송
- 재생01:004고딩엄빠2[예고]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살아!’ 충격에 휩싸인 혜리&윤배네 | 고딩엄빠2 MBN 220809 방송
- 재생03:205엠카운트다운예나 지금이나 귀여운 'YENA(최예나)'의 'SMARTPHONE' 무대 | Mnet 220811 방송
- 재생04:566놀라운 토요일[선공개] 반갑다 친구야 드디어 만난 붐식이
- 재생03:387엠카운트다운'COMEBACK' 청량 써머송 '코요태'의 'GO' 무대 | Mnet 220811 방송
- 재생03:128엠카운트다운'HOT DEBUT' 절제된 섹시美 '키노 (펜타곤)'의 'POSE' 무대 | Mnet 220811 방송
- 재생03:029엠카운트다운독보적 음색 '퍼플키스'의 'Nerdy' 무대 | Mnet 220811 방송
- 재생02:1710국가가 부른다‘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 노래는 국가가 부른다에서 TV CHOSUN 220811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