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왕궁리 유적 부근서 7세기 백제 ‘왕경(王京) 도로’ 발견

등록 2016.08.12.
전북문화재연구원, 왕경도로 1개 - 임시도로 2개 발견

전북 익산 왕궁리 유적 근처에서 7세기 백제시대 ‘왕경(王京) 도로’가 확인됐다. 익산에서 왕궁 외부를 잇는 왕경 도로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백제 무왕이 사비(부여)에서 익산으로 천도(遷都)를 시도한 흔적 또는 익산을 복도(複都·수도에 버금가는 위상을 가진 도성)로 삼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자료로 평가된다.

9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전북문화재연구원이 올 3∼7월 익산시 왕궁리 유적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왕경 도로 1개, 임시 도로 2개를 발견했다. 이 중 왕경 도로는 너비 4.9m, 길이 26m로 백제시대 정전(正殿)이 발견된 왕궁리 유적으로부터 남쪽으로 500m가량 떨어져 있었다.

고고학계는 이 도로가 △왕궁리 유적과 인접한 데다 남북 방향이 서로 일치하고 △도로 너비가 약 5m로 넓으며 △강돌과 자갈, 진흙으로 바닥을 다지는 이른바 ‘노체(路體) 공법’으로 만들어진 점을 들어 왕궁과 연결된 왕경 도로로 보고 있다. 너비 5m짜리 왕경 도로는 백제시대 당시 기준으로 중간급 정도로 분류된다. 앞서 부여에서는 너비가 최대 9m에 이르는 왕경 도로가 발견된 적이 있다.

노체 공법은 삼국시대에는 왕경 도로 등에서만 드물게 발견되는, 당시로서는 최신 도로 건설 기술이었다. 이 공법이 적용된 도로는 내구성이 좋아 무거운 수레도 잘 버틸 수 있다. 도로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아래층에 강돌을 넓게 깐 뒤 그 위에 황갈색 점질토를 채웠다. 이어 10∼40cm 깊이로 땅을 판 뒤 내부에 모래와 암갈색 점질토를 얇게 채워 다졌다. 도로 중앙에서는 배수시설로 추정되는 폭 40cm의 판형 석재가 나왔다. 도로가 묻힌 퇴적층에서 午(오)자와 斯(사)자가 적힌 인장기와 조각도 발견됐다.



나머지 임시 도로 2개에서는 수레바퀴 자국(차륜흔)과 더불어 수레를 끌 때 생긴 것으로 보이는 소와 말의 발자국도 함께 발견됐다. 임시 도로에 새겨진 바퀴 폭은 1.2∼1.5m이며, 진행 방향은 동서로 남북 방향의 왕경 도로와 수직을 이루고 있다.

현장을 둘러본 고고학자들은 익산에 왕궁을 지을 때 필요한 건축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공사용 임시 도로를 낸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 임시 도로 주변에서 도구를 수리하거나 음식을 조리한 것으로 보이는 불을 땐 흔적도 나왔다. 발굴단 관계자는 “마차를 수리하기 위해 쇠붙이를 달구던 야철지(冶鐵址)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학계는 왕경 도로가 백제시대 익산에 수도(사비)와 버금가는 시가지 조성이 진행됐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박순발 충남대 교수(고고학)는 “당시 익산에 단순히 궁궐만 세운 게 아니라 도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인프라가 깔렸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고구려의 삼경(三京)이나 신라 오소경(五小京), 발해 오경(五京), 고려 사경(四京) 등이 수도와 더불어 복도가 운영된 사례로 꼽힌다.

정치적 지지 기반이 취약했던 무왕이 사비의 귀족세력을 견제하려고 익산 천도를 계획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일본 교토(京都)의 쇼렌인(靑蓮院) 사찰이 소장한 관세음응험기에 따르면 ‘639년 백제 무광왕(武廣王·무왕)이 수도를 지모밀(枳慕蜜·익산)로 옮겼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전북문화재연구원, 왕경도로 1개 - 임시도로 2개 발견

전북 익산 왕궁리 유적 근처에서 7세기 백제시대 ‘왕경(王京) 도로’가 확인됐다. 익산에서 왕궁 외부를 잇는 왕경 도로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백제 무왕이 사비(부여)에서 익산으로 천도(遷都)를 시도한 흔적 또는 익산을 복도(複都·수도에 버금가는 위상을 가진 도성)로 삼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자료로 평가된다.

9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전북문화재연구원이 올 3∼7월 익산시 왕궁리 유적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왕경 도로 1개, 임시 도로 2개를 발견했다. 이 중 왕경 도로는 너비 4.9m, 길이 26m로 백제시대 정전(正殿)이 발견된 왕궁리 유적으로부터 남쪽으로 500m가량 떨어져 있었다.

고고학계는 이 도로가 △왕궁리 유적과 인접한 데다 남북 방향이 서로 일치하고 △도로 너비가 약 5m로 넓으며 △강돌과 자갈, 진흙으로 바닥을 다지는 이른바 ‘노체(路體) 공법’으로 만들어진 점을 들어 왕궁과 연결된 왕경 도로로 보고 있다. 너비 5m짜리 왕경 도로는 백제시대 당시 기준으로 중간급 정도로 분류된다. 앞서 부여에서는 너비가 최대 9m에 이르는 왕경 도로가 발견된 적이 있다.

노체 공법은 삼국시대에는 왕경 도로 등에서만 드물게 발견되는, 당시로서는 최신 도로 건설 기술이었다. 이 공법이 적용된 도로는 내구성이 좋아 무거운 수레도 잘 버틸 수 있다. 도로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아래층에 강돌을 넓게 깐 뒤 그 위에 황갈색 점질토를 채웠다. 이어 10∼40cm 깊이로 땅을 판 뒤 내부에 모래와 암갈색 점질토를 얇게 채워 다졌다. 도로 중앙에서는 배수시설로 추정되는 폭 40cm의 판형 석재가 나왔다. 도로가 묻힌 퇴적층에서 午(오)자와 斯(사)자가 적힌 인장기와 조각도 발견됐다.



나머지 임시 도로 2개에서는 수레바퀴 자국(차륜흔)과 더불어 수레를 끌 때 생긴 것으로 보이는 소와 말의 발자국도 함께 발견됐다. 임시 도로에 새겨진 바퀴 폭은 1.2∼1.5m이며, 진행 방향은 동서로 남북 방향의 왕경 도로와 수직을 이루고 있다.

현장을 둘러본 고고학자들은 익산에 왕궁을 지을 때 필요한 건축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공사용 임시 도로를 낸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 임시 도로 주변에서 도구를 수리하거나 음식을 조리한 것으로 보이는 불을 땐 흔적도 나왔다. 발굴단 관계자는 “마차를 수리하기 위해 쇠붙이를 달구던 야철지(冶鐵址)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학계는 왕경 도로가 백제시대 익산에 수도(사비)와 버금가는 시가지 조성이 진행됐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박순발 충남대 교수(고고학)는 “당시 익산에 단순히 궁궐만 세운 게 아니라 도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인프라가 깔렸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고구려의 삼경(三京)이나 신라 오소경(五小京), 발해 오경(五京), 고려 사경(四京) 등이 수도와 더불어 복도가 운영된 사례로 꼽힌다.

정치적 지지 기반이 취약했던 무왕이 사비의 귀족세력을 견제하려고 익산 천도를 계획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일본 교토(京都)의 쇼렌인(靑蓮院) 사찰이 소장한 관세음응험기에 따르면 ‘639년 백제 무광왕(武廣王·무왕)이 수도를 지모밀(枳慕蜜·익산)로 옮겼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