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미도· 왕의남자·해운대… ‘1000만’ 영화 5편의 공통점?

등록 2009.08.26.
◆1000만 영화의 공식

(박제균 앵커) 우리나라 인구의 5분의 1을 넘는 `1000만`이라는 숫자. 영화에서는 꿈의 숫자로 불립니다. 작품성과 마케팅 전략, 입소문 등 모든 요소를 갖춰도 결정적으로 운이 따르지 않으면 닿기 힘든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김현수 앵커) 문화부 염희진 기자와 함께 꿈의 숫자에 도달한 영화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염 기자, 지금까지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는 뭐가 있나요?

(염희진 기자) 네, 한국 영화 시장의 규모를 생각했을 때 1000만 관객을 동원하는 건 일종의 기현상으로 불리는데요.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그런 영화가 다섯 편이 있었습니다. 2003년 개봉한 `실미도`가 첫 1000만을 기록한 후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2005년 `왕의 남자`, 2006년 `괴물`에 이어 최근 한국 영화 `해운대`가 주인공이 됐는데요. 해운대에 불어 닥친 지진해일을 그린 재난 블록버스터 `해운대`는 총 1007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현재까지 흥행 순위 5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박 앵커) 모두 한국영화인데, 그렇다면 외국영화는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가 없습니까?

(염 기자) 네, `1000만 영화` 공식의 첫 번째는 한국영화라는 겁니다. 외국 영화 가운데 국내에서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는 한편도 없습니다. 외화 흥행 1위를 기록한 `트랜스포머`의 관객 수도 744만 명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1000만 명의 한국인에게 호소하기 위해서는 전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한국적 정서를 담아야 합니다.

두 번째, 1000만 영화들은 대부분 `족(族)`, 그러니까 피가 통하는 어떤 무리에 호소하고 있는 특징도 있습니다.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는 분단 상황이 빚은 `민족`의 비극을 다뤘습니다. `괴물`과 `해운대`를 관통하는 정서는 `가족`이었습니다. 민족 아니면 가족, 둘 중 하나의 `핏줄`을 걸쳐야 국민적인 공감대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번째, 1000만 관객을 넘은 다섯 영화 모두 12세 이상 혹은 15세 이상 관람가로 개봉돼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영화`를 노린 것도 특징입니다. `1000만 영화`는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남녀노소, 세대와 성별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봤다는 뜻이죠.

(김 앵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는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염 기자) 네, 네 번째 공식은 불가항력적인 힘에 당하는 소시민이 있다는 점입니다. 인기 TV 드라마에 재벌 2세가 꼭 나오죠. `1000만 영화`는 드라마와 반댑니다. `태극기 휘날리며`의 두 형제는 어쩔 수 없이 전쟁에 뛰어들고 `실미도`에서는 국가 권력이 개인을 억압합니다. 한강을 배경으로 등장하는 괴수를 그린 영화 `괴물`에서는 환경오염이, `해운대`에서는 인간의 힘을 넘어서는 자연재앙이 소시민의 삶을 헝클어뜨립니다. `왕의 남자`는 하층민인 광대들의 삶을 다뤘습니다.

(박 앵커) 그런데 해운대는 재난 블록버스터라는 점에서 보면 기존의 다른 1000만 영화들과 좀 다른 것도 같습니다.

(염 기자) 네, 이번 `해운대`는 여름이라는 계절을 흥행의 최고 요소로 겨냥한 점과 천재지변을 소재로 한 재난 블록버스터라는 것이죠.

다른 1000만 영화와 달리 여주인공이 극을 이끌어 갑니다. `태극기 휘날리며`에는 이은 주 씨가 진태의 약혼녀 영신을 연기했고, `괴물`에도 양궁선수 남주역을 맡은 배두나 씨와 괴물에 잡혀가는 현서가 있었죠. 하지만 작품을 이끌어 가는 배역은 아니었습니다. 장동건, 원빈 형제와 딸을 찾으려는 아버지 송강호 씨가 중심이었죠.

반면 `해운대`는 무허가 횟집을 운영하는 연희와 연희를 사랑하는 만식이 줄거리의 축을 이뤘습니다. 그들이 어떻게 재난을 맞고 이겨내는 지에 초점이 맞춰졌죠.

(김 앵커) 해운대처럼 새로운 `1000만 영화 공식`을 써내려갈 한국 영화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염 기자, 수고했습니다.

◆1000만 영화의 공식

(박제균 앵커) 우리나라 인구의 5분의 1을 넘는 `1000만`이라는 숫자. 영화에서는 꿈의 숫자로 불립니다. 작품성과 마케팅 전략, 입소문 등 모든 요소를 갖춰도 결정적으로 운이 따르지 않으면 닿기 힘든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김현수 앵커) 문화부 염희진 기자와 함께 꿈의 숫자에 도달한 영화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염 기자, 지금까지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는 뭐가 있나요?

(염희진 기자) 네, 한국 영화 시장의 규모를 생각했을 때 1000만 관객을 동원하는 건 일종의 기현상으로 불리는데요.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그런 영화가 다섯 편이 있었습니다. 2003년 개봉한 `실미도`가 첫 1000만을 기록한 후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2005년 `왕의 남자`, 2006년 `괴물`에 이어 최근 한국 영화 `해운대`가 주인공이 됐는데요. 해운대에 불어 닥친 지진해일을 그린 재난 블록버스터 `해운대`는 총 1007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현재까지 흥행 순위 5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박 앵커) 모두 한국영화인데, 그렇다면 외국영화는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가 없습니까?

(염 기자) 네, `1000만 영화` 공식의 첫 번째는 한국영화라는 겁니다. 외국 영화 가운데 국내에서 1000만 관객을 넘은 영화는 한편도 없습니다. 외화 흥행 1위를 기록한 `트랜스포머`의 관객 수도 744만 명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1000만 명의 한국인에게 호소하기 위해서는 전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한국적 정서를 담아야 합니다.

두 번째, 1000만 영화들은 대부분 `족(族)`, 그러니까 피가 통하는 어떤 무리에 호소하고 있는 특징도 있습니다.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는 분단 상황이 빚은 `민족`의 비극을 다뤘습니다. `괴물`과 `해운대`를 관통하는 정서는 `가족`이었습니다. 민족 아니면 가족, 둘 중 하나의 `핏줄`을 걸쳐야 국민적인 공감대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겁니다.

세 번째, 1000만 관객을 넘은 다섯 영화 모두 12세 이상 혹은 15세 이상 관람가로 개봉돼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영화`를 노린 것도 특징입니다. `1000만 영화`는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남녀노소, 세대와 성별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봤다는 뜻이죠.

(김 앵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는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염 기자) 네, 네 번째 공식은 불가항력적인 힘에 당하는 소시민이 있다는 점입니다. 인기 TV 드라마에 재벌 2세가 꼭 나오죠. `1000만 영화`는 드라마와 반댑니다. `태극기 휘날리며`의 두 형제는 어쩔 수 없이 전쟁에 뛰어들고 `실미도`에서는 국가 권력이 개인을 억압합니다. 한강을 배경으로 등장하는 괴수를 그린 영화 `괴물`에서는 환경오염이, `해운대`에서는 인간의 힘을 넘어서는 자연재앙이 소시민의 삶을 헝클어뜨립니다. `왕의 남자`는 하층민인 광대들의 삶을 다뤘습니다.

(박 앵커) 그런데 해운대는 재난 블록버스터라는 점에서 보면 기존의 다른 1000만 영화들과 좀 다른 것도 같습니다.

(염 기자) 네, 이번 `해운대`는 여름이라는 계절을 흥행의 최고 요소로 겨냥한 점과 천재지변을 소재로 한 재난 블록버스터라는 것이죠.

다른 1000만 영화와 달리 여주인공이 극을 이끌어 갑니다. `태극기 휘날리며`에는 이은 주 씨가 진태의 약혼녀 영신을 연기했고, `괴물`에도 양궁선수 남주역을 맡은 배두나 씨와 괴물에 잡혀가는 현서가 있었죠. 하지만 작품을 이끌어 가는 배역은 아니었습니다. 장동건, 원빈 형제와 딸을 찾으려는 아버지 송강호 씨가 중심이었죠.

반면 `해운대`는 무허가 횟집을 운영하는 연희와 연희를 사랑하는 만식이 줄거리의 축을 이뤘습니다. 그들이 어떻게 재난을 맞고 이겨내는 지에 초점이 맞춰졌죠.

(김 앵커) 해운대처럼 새로운 `1000만 영화 공식`을 써내려갈 한국 영화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염 기자, 수고했습니다.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