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신, 젊은 여자들이 지나갈 때 삶이 아득…

등록 2012.05.23.

‘남자의 물건’ 김정운 씨 - ‘은교’ 박범신 작가 만나다

“삶이 아득해져요.”

문화심리학자인 김정운 씨(50·전 명지대 교수)가 “젊은 여자를 보면 (은교를 바라보듯) 애틋한 마음이 생기느냐”고 묻자 박범신 작가(66·상명대 석좌교수)가 답한 말이다.

“출근할 때 상명대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에 걸려 멈춰요. 햇빛이 쏟아지고 여대생과 여중고교 애들이 기운차게 내 앞을 지나가요. 삶이 아득해지는 그 순간 나의 돌이킬 수 없는 세월도 지나가죠. 김소월의 어법으로 말하자면 그냥 꽃이 저기 저만치에 있는 거지. 그러면 상처와 슬픔이 생기죠. 툴툴 털고자 하지만 여전히 남은 그 슬픔이 내 문학적 동력이지요.”

‘남자의 물건’이 ‘은교’를 만났다. 김 씨는 올 초 출간된 ‘남자의 물건’ 집필 과정에서 박 작가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박 작가의 소설 ‘은교’를 소재로 두 남자가 나눈 대화가 책에 짧게 언급돼 있다. 그런데 ‘남자의 물건’을 펴낸 출판사 북이십일이 책에 넣지 못한 두 남자의 이야기를 담은 인터뷰 동영상 ‘오 나의 처녀, 은교’를 제작했다. 동영상은 카드북닷컴(www.cardbook.com)에 올렸다.

“나이가 들어서도 어린 여인에게 사랑을 느낀다는 것을 선생님이 써주신 덕분에 남자들의 그런 욕구에 대한 면죄부가 생긴 것 같아요. 저뿐 아니라 다른 남자들도 그렇게 생각하죠.”(김)

“남주인공은 70세고 여주인공은 17세 소녀죠. 평생 자기 절제를 해온 노시인에게 나타난 은교는 단순히 젊은 아이가 아니에요. 불멸의 처녀성을 뜻하지요. 처녀가 늙어 애 낳고 시집가고 그러는 것은 노인의 머릿속에 없는 거예요.”(박)

김 씨는 ‘은교’를 읽으면서 칠십 노인의 열일곱 소녀에 대한 사랑에 자꾸 감정이입이 돼 몇 번이나 눈물이 났다고 했다. 그는 “나이가 들면 젊은 여성에 대한 욕망을 품을 수 없다고 사회가, 그리고 스스로 규정짓는 게 슬프다”고 털어놓았다. 박 작가는 “안 된다고 할 때 갈망은 더 커진다. 본성을 드러낼 수 있고, 사랑 때문에 패가망신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가 좋은 사회다. 비록 나는 못했지만…”이라며 웃었다.

박 작가는 교수로서 젊은 제자, 특히 여제자들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도 대담하다 싶을 만큼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지난해까지 명지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했다. “교수인 내 입장에서 아이들은 영원한 ‘버진(처녀)’이에요. 열일곱 살 그대로 있는 거죠. …교수가 60대쯤 됐을 때 제자들도 늙어 50대쯤 되면 참 평화스러운데, 나는 60세가 됐지만 제자는 아직도 20대 초반이죠. 거리가 많이 생기니, 마음이 아프고 상처 받는 일이 많아요.”(박)

인터뷰 내내 50대에 갓 진입한 남자는 70세를 향해 가는 또 다른 남자에게 ‘늙어감에 대한 슬픔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물었다.

“전 미리부터 늙어가는 게 참 슬퍼요. 그 슬픔이 소설에 잘 나와 있지요. 하지만 노시인이 결국 은교의 손을 만지는 걸로 끝이 나는데, 전 굉장히 비겁하다고 봤어요. ‘이렇게 슬프게 해놓고 손만 만지고 가게 하나’, 그런 생각을 했지요.”(김)

“가질 수 없기에, 은교죠. 그렇기에 우리 마음속에 갈망이 남는 거고요. 전 늙어가는 게 불편하진 않아요. 하지만 말할 수 없이 슬프죠. 하지만 깊은 슬픔을 간직하는 게 오히려 좋다고 봐요. 또 무언가를 끝없이 갈망하고자 해요. 그러면 진정 늙은 건 아니니까요.”(박)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영상제공 = 출판사 북이십일


‘남자의 물건’ 김정운 씨 - ‘은교’ 박범신 작가 만나다

“삶이 아득해져요.”

문화심리학자인 김정운 씨(50·전 명지대 교수)가 “젊은 여자를 보면 (은교를 바라보듯) 애틋한 마음이 생기느냐”고 묻자 박범신 작가(66·상명대 석좌교수)가 답한 말이다.

“출근할 때 상명대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에 걸려 멈춰요. 햇빛이 쏟아지고 여대생과 여중고교 애들이 기운차게 내 앞을 지나가요. 삶이 아득해지는 그 순간 나의 돌이킬 수 없는 세월도 지나가죠. 김소월의 어법으로 말하자면 그냥 꽃이 저기 저만치에 있는 거지. 그러면 상처와 슬픔이 생기죠. 툴툴 털고자 하지만 여전히 남은 그 슬픔이 내 문학적 동력이지요.”

‘남자의 물건’이 ‘은교’를 만났다. 김 씨는 올 초 출간된 ‘남자의 물건’ 집필 과정에서 박 작가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박 작가의 소설 ‘은교’를 소재로 두 남자가 나눈 대화가 책에 짧게 언급돼 있다. 그런데 ‘남자의 물건’을 펴낸 출판사 북이십일이 책에 넣지 못한 두 남자의 이야기를 담은 인터뷰 동영상 ‘오 나의 처녀, 은교’를 제작했다. 동영상은 카드북닷컴(www.cardbook.com)에 올렸다.

“나이가 들어서도 어린 여인에게 사랑을 느낀다는 것을 선생님이 써주신 덕분에 남자들의 그런 욕구에 대한 면죄부가 생긴 것 같아요. 저뿐 아니라 다른 남자들도 그렇게 생각하죠.”(김)

“남주인공은 70세고 여주인공은 17세 소녀죠. 평생 자기 절제를 해온 노시인에게 나타난 은교는 단순히 젊은 아이가 아니에요. 불멸의 처녀성을 뜻하지요. 처녀가 늙어 애 낳고 시집가고 그러는 것은 노인의 머릿속에 없는 거예요.”(박)

김 씨는 ‘은교’를 읽으면서 칠십 노인의 열일곱 소녀에 대한 사랑에 자꾸 감정이입이 돼 몇 번이나 눈물이 났다고 했다. 그는 “나이가 들면 젊은 여성에 대한 욕망을 품을 수 없다고 사회가, 그리고 스스로 규정짓는 게 슬프다”고 털어놓았다. 박 작가는 “안 된다고 할 때 갈망은 더 커진다. 본성을 드러낼 수 있고, 사랑 때문에 패가망신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가 좋은 사회다. 비록 나는 못했지만…”이라며 웃었다.

박 작가는 교수로서 젊은 제자, 특히 여제자들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도 대담하다 싶을 만큼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지난해까지 명지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했다. “교수인 내 입장에서 아이들은 영원한 ‘버진(처녀)’이에요. 열일곱 살 그대로 있는 거죠. …교수가 60대쯤 됐을 때 제자들도 늙어 50대쯤 되면 참 평화스러운데, 나는 60세가 됐지만 제자는 아직도 20대 초반이죠. 거리가 많이 생기니, 마음이 아프고 상처 받는 일이 많아요.”(박)

인터뷰 내내 50대에 갓 진입한 남자는 70세를 향해 가는 또 다른 남자에게 ‘늙어감에 대한 슬픔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물었다.

“전 미리부터 늙어가는 게 참 슬퍼요. 그 슬픔이 소설에 잘 나와 있지요. 하지만 노시인이 결국 은교의 손을 만지는 걸로 끝이 나는데, 전 굉장히 비겁하다고 봤어요. ‘이렇게 슬프게 해놓고 손만 만지고 가게 하나’, 그런 생각을 했지요.”(김)

“가질 수 없기에, 은교죠. 그렇기에 우리 마음속에 갈망이 남는 거고요. 전 늙어가는 게 불편하진 않아요. 하지만 말할 수 없이 슬프죠. 하지만 깊은 슬픔을 간직하는 게 오히려 좋다고 봐요. 또 무언가를 끝없이 갈망하고자 해요. 그러면 진정 늙은 건 아니니까요.”(박)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영상제공 = 출판사 북이십일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