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독특한, 차갑게 식힌 국수[평양냉면]
등록 2013.06.10.우리가 냉면을 먹듯이 국수를 일부러 차갑게 만들어 먹는 나라는 드물다. 일본에도 메밀국수인 냉(冷)소바가 있지만 우리 냉면처럼 차갑지는 않고 중국의 량몐(凉麵)은 찬 것이 아니라 뜨겁지 않을 뿐이다.
냉면은 이렇게 세계적으로 독특한 음식이고 한국인 대부분이 좋아하는 전통 국수지만 유래를 알고 보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상식과는 다른 부분이 적지 않다.
먼저 우리 고유의 음식이니까 먼 옛날부터 조상들이 먹었을 것 같지만 냉면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다. 또 더운 여름에 시원하게 먹어야 제 맛이라고 생각하지만 본래는 겨울철 음식으로 발달했다. 지금은 평양과 함흥을 대표적인 냉면의 고장으로 꼽지만 예전에는 해주와 진주도 냉면으로 유명했다.
냉면의 기원을 찾기는 쉽지 않다. 먼저 차가운 국수라는 뜻의 냉면(冷麵)이 문헌에 나오는 시기는 조선 중엽이다. 17세기 초, 인조 때 활동한 장유의 계곡집(谿谷集)에 냉면이라는 단어가 처음 보인다.
자줏빛 육수의 냉면이라는 시에서 냉면을 먹으며 독특한 맛(異味)이라고 표현했다. 시 한 편을 놓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독특하다는 표현과 냉면이라는 단어가 처음 보이는 것을 보면 조선 중기에는 냉면이 그렇게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전에도 차가운 국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냉도(冷淘)라는 음식이 보이는데 고려 말 이색은 냉도를 먹으니 시원하다는 시를 읊었고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 고려 환관들이 유두절이면 더위를 피해 머리를 감고 수단(水團)을 먹으며 냉도와 비슷한 맛이라고 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냉도는 중국에서 먹는 찬 밀가루국수다. 고려 환관들이 수단과 비슷한 맛이라고 한 것을 보면 우리 조상들이 먹었다는 냉도는 차가운 밀국수나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의 문헌에 냉면이라는 이름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18세기 이후부터다. 다산 정약용은 면발이 긴 냉면에다 김치인 숭저(숭菹)를 곁들여 먹는다고 했다. 같은 시대를 살았던 실학자 유득공은 서경잡절(西京雜絶)에서 가을이면 평양의 냉면 값이 오른다고 적었다.
평양냉면은 조선 중기 이후 널리 보급되면서 바로 유명해진 모양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규경은 평양의 명물로 감홍로와 냉면, 그리고 비빔밥을 꼽았는데 감홍로는 계피와 생강을 꿀에 버무려 소주를 붓고 밀봉해 담그는 술이다. 40도가 넘는 독주로 평양에서 담근 것이 유명했다.평양에서는 고기안주에 감홍로를 마신 후 취하면 냉면을 먹으며 속을 풀었다고 해서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는 말이 생겼다. 지금도 술자리가 끝날 때 마지막으로 국수를 먹는 경우가 있는데 평양에서 냉면이 해장국 역할을 한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도 겨울철 계절음식으로는 메밀국수에 무와 배추김치를 넣고 돼지고기를 얹은 냉면을 먹는다고 소개했는데 그중에서도 관서(關西)지방의 국수가 제일 맛있다고 했으니 바로 평양냉면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평양냉면은 메밀을 주원료로 하지만 쫄깃한 맛을 더하기 위해 녹말가루를 섞어 반죽을 한다. 그렇지만 메밀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질기지 않고 잘 끊어진다. 이 때문에 비빔냉면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평양냉면이 물냉면의 형태로 발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윤덕노 음식문화평론가]
우리가 냉면을 먹듯이 국수를 일부러 차갑게 만들어 먹는 나라는 드물다. 일본에도 메밀국수인 냉(冷)소바가 있지만 우리 냉면처럼 차갑지는 않고 중국의 량몐(凉麵)은 찬 것이 아니라 뜨겁지 않을 뿐이다.
냉면은 이렇게 세계적으로 독특한 음식이고 한국인 대부분이 좋아하는 전통 국수지만 유래를 알고 보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상식과는 다른 부분이 적지 않다.
먼저 우리 고유의 음식이니까 먼 옛날부터 조상들이 먹었을 것 같지만 냉면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다. 또 더운 여름에 시원하게 먹어야 제 맛이라고 생각하지만 본래는 겨울철 음식으로 발달했다. 지금은 평양과 함흥을 대표적인 냉면의 고장으로 꼽지만 예전에는 해주와 진주도 냉면으로 유명했다.
냉면의 기원을 찾기는 쉽지 않다. 먼저 차가운 국수라는 뜻의 냉면(冷麵)이 문헌에 나오는 시기는 조선 중엽이다. 17세기 초, 인조 때 활동한 장유의 계곡집(谿谷集)에 냉면이라는 단어가 처음 보인다.
자줏빛 육수의 냉면이라는 시에서 냉면을 먹으며 독특한 맛(異味)이라고 표현했다. 시 한 편을 놓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독특하다는 표현과 냉면이라는 단어가 처음 보이는 것을 보면 조선 중기에는 냉면이 그렇게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전에도 차가운 국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냉도(冷淘)라는 음식이 보이는데 고려 말 이색은 냉도를 먹으니 시원하다는 시를 읊었고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 고려 환관들이 유두절이면 더위를 피해 머리를 감고 수단(水團)을 먹으며 냉도와 비슷한 맛이라고 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냉도는 중국에서 먹는 찬 밀가루국수다. 고려 환관들이 수단과 비슷한 맛이라고 한 것을 보면 우리 조상들이 먹었다는 냉도는 차가운 밀국수나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의 문헌에 냉면이라는 이름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18세기 이후부터다. 다산 정약용은 면발이 긴 냉면에다 김치인 숭저(숭菹)를 곁들여 먹는다고 했다. 같은 시대를 살았던 실학자 유득공은 서경잡절(西京雜絶)에서 가을이면 평양의 냉면 값이 오른다고 적었다.
평양냉면은 조선 중기 이후 널리 보급되면서 바로 유명해진 모양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규경은 평양의 명물로 감홍로와 냉면, 그리고 비빔밥을 꼽았는데 감홍로는 계피와 생강을 꿀에 버무려 소주를 붓고 밀봉해 담그는 술이다. 40도가 넘는 독주로 평양에서 담근 것이 유명했다.평양에서는 고기안주에 감홍로를 마신 후 취하면 냉면을 먹으며 속을 풀었다고 해서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는 말이 생겼다. 지금도 술자리가 끝날 때 마지막으로 국수를 먹는 경우가 있는데 평양에서 냉면이 해장국 역할을 한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도 겨울철 계절음식으로는 메밀국수에 무와 배추김치를 넣고 돼지고기를 얹은 냉면을 먹는다고 소개했는데 그중에서도 관서(關西)지방의 국수가 제일 맛있다고 했으니 바로 평양냉면이다.
그런데 전통적인 평양냉면은 메밀을 주원료로 하지만 쫄깃한 맛을 더하기 위해 녹말가루를 섞어 반죽을 한다. 그렇지만 메밀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질기지 않고 잘 끊어진다. 이 때문에 비빔냉면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평양냉면이 물냉면의 형태로 발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윤덕노 음식문화평론가]
유튜브 채널
VODA 인기 동영상
- 재생03:371가족의 발견 배우자남편의 마음을 사로잡은 김영임의 정성 가득 한 상 (ft. 해물전) | JTBC 231003 방송
- 재생02:122가족의 발견 배우자(쉬움 주의) '혈액순환 돕는 운동'으로 쓰리고는 이제 안녕~ | JTBC 231003 방송
- 재생03:183가족의 발견 배우자면역력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흑염소로 단백질 충전하자! | JTBC 231003 방송
- 재생02:044순정복서김소혜 vs 채원빈, 주먹이 엇갈리며 마지막 라운드 종료.. ‘모든 것을 보여준 최고의 경기’ | KBS 231002 방송
- 재생02:475가족의 발견 배우자역시 아름다운 우리 가락~ '국악인 김영임'의 〈한오백년〉 | JTBC 231003 방송
- 재생03:136가족의 발견 배우자오직! 아내 김영임을 위한 이상해의 노래 선물 〈행복한 고백〉 | JTBC 231003 방송
- 재생01:547순정복서이상엽의 협조로 ‘승부조작’ 박지환, 검거에 성공 | KBS 231002 방송
- 재생02:478순정복서김소혜&채원빈, 서로의 얼굴에 동시타·· 쓰러진 김소혜?! | KBS 231002 방송
- 재생01:569순정복서김소혜가 패배했음에도 이상엽의 머리에 총구를 겨누는 박지환?! | KBS 231002 방송
- 재생02:4410순정복서링과 작별 인사를 나누고 있는 김소혜를 보곤 인사도 없이 떠나버리는 이상엽?! | KBS 231002 방송
- 재생02:1017인의 탈출“누군가 희생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황정음, 늪을 지나가기 위한 욕망의 인간 징검다리!
- 재생12:032놀라운 토요일SSAP(?) 소름 주의ㅋㅋㅋ 니콜 빙의한 것 같은 키어로 | tvN 230930 방송
- 재생03:243라디오스타구교환도 반한 <D.P.2> 정석용 발차기 액션 '액션 까리스마', MBC 230920 방송
- 재생05:144신상출시 편스토랑한지혜와 미소가 붕어빵인 친정아버지, 손녀 윤슬이 밀당 애교+뽀뽀에 함박웃음 | KBS 230929 방송
- 재생02:005장미꽃 필 무렵침착+승부욕으로 1등 먹은 밍키! 핫도그도 먹어염 MBN 230926 방송
- 재생00:3167인의 탈출[7회 예고] ‘주홍 글씨’를 쫓는 엄기준, 그리고 돌아온 방다미?!
- 재생03:3577인의 탈출“금라희 대표님? 매튜리입니다” 위기에 빠진 7인 구하는 엄기준
- 재생06:598강철부대3"와 UDU 빠르다" 실수해도 1위? 감탄사 절로 나오는 이병주 실력
- 재생03:349꾸러기 식사교실아린이의 놀라운 변화? 알아서 척척! 성공적인 아린이의 식사 시간, MBC 231001 방송
- 재생02:1910꾸러기 식사교실식사에 흥미가 없는 아이를 위한 맞춤 해결법!, MBC 231001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