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리포트]사고해변 말로만 “사용금지”… 출입막는 사람 아무도 없어
등록 2014.07.16.경찰이 되길 꿈꾸던 아들은 삶과 죽음을 가르는 순간에도 친구들을 외면하지 않았다. 깊은 바다에 빠진 친구를 살리려고 주저 없이 바닷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아들은 결국 자신이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친구들과 함께 싸늘한 시신으로 아버지 곁에 돌아왔다.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다가 숨진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이병학 군(당시 17세) 얘기다.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고 1주년을 나흘 앞둔 14일 이 군의 아버지인 이후식 씨(47·유족 대표) 등 유족 4명과 함께 사고 해변과 학생들이 묵었던 유스호스텔을 찾았다.
○ 유스호스텔은 이름 바꿔 영업 준비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목숨을 잃은 해변으로 가기 위해선 유스호스텔을 가로질러야 했다. 사고 당시 공주사대부고와 계약한 안면도유스호스텔(당시 상호)은 여행업체에 해병대 캠프 사업을 위탁했고, 이 업체가 다시 무자격 교관을 고용한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을 재위탁했다.
유스호스텔은 지난해 11월 태안군의 허가를 얻어 ‘해가든 유스호스텔’로 상호를 바꾼 상태였다. 영업을 재개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숙박용 건물 앞에는 수련활동에 쓰일 법한 무대가 설치됐고, 공사 중인 가건물도 여럿 눈에 띄었다. 유스호스텔 측은 올해 8월까지 휴업을 선언했지만 유족들은 “참사 원인을 제공한 죄를 물어 모든 영업을 취소시켜야 마땅한데 (태안군이) 상호 변경을 허가해 영업 재개 가능성을 열어준 것은 부당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경찰 조사 결과 바닥이 움푹 파인 ‘갯골’에 빠져 학생들이 변을 당했던 사고 해변은 현재 태안군과 해경이 사용을 금지시킨 상태다. 그러나 취재진의 해변 출입을 막는 사람은 없었다. 부표, 계류장(배가 정박할 수 있는 수상안전시설), 구명정 등 안전을 담보할 장치는 보이지 않았다. 이 씨는 “달라진 게 없다. 민간인이 불쑥 여기 들어와 사고를 당해도 아무도 구해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해변을 둘러보던 유족들은 휴대전화를 꺼내 해변 모래를 인근 해수욕장으로 퍼 나르는 공사를 하고 있던 덤프트럭과 굴착기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공사 여파로 해변 곳곳에는 최대 1m 깊이의 웅덩이가 생겼다. 이 씨는 “경사가 진 웅덩이는 해수욕객들이 깊은 물속으로 미끄러져 참변을 당하는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족들이 태안군에 문의한 결과 이 공사는 군청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이었다. 상가번영회 측이 인근 해수욕장의 날카로운 돌을 덮기 위해 임의로 모래를 퍼 나른 것이었다. 해변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태안군과 해경은 유족의 신고를 받고서야 현장에 도착해 공사를 중단시켰다. 하루 4회 순찰을 한다는 해경 측은 공사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유족들은 “참사 후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관리 소홀로 불법 행위가 자행되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라며 혀를 찼다.
○ 유사 해병대 불법 캠프 재개
유족들은 ‘제2의 태안 해병대 사설 캠프 참사’를 막기 위해 모든 불법 사설 캠프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본보 취재 결과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최소 8곳의 유사 해병대 사설 캠프가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8월 해병대가 특허청에 해병대 직영 캠프 외에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쓸 수 없도록 상표등록을 신청해 현재 사설 캠프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쓰지 못한다. 그러나 일부 사설 캠프는 ‘인성 캠프’ ‘극기 캠프’ 등 모호한 명칭을 쓰면서 여전히 해병대식 훈련 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파악된 10개 사설 캠프 운영자들에게 “해병대 캠프를 운영하느냐”고 묻자 8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경북 포항시에서 A캠프를 운영하는 이모 씨는 “태안 사고로 관련 업자들이 몸을 사리다 요즘 들어 영업을 재개했다”고 말했다.
사설 캠프의 훈련 프로그램은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인증한다. 그런데 8개 기관 중 인증을 받은 곳은 인천에 있는 B캠프 1곳에 불과했고, 이곳마저도 인증 내용에 빠져 있는 해병대식 훈련을 하고 있었다. 캠프 운영 방식도 감시를 피하기 위해 ‘게릴라형’으로 변했다. 수요가 있을 때마다 교관들을 모아 운영하는 비정기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 사설 캠프 관계자들은 “언제 단속을 당할지 모른다는 압박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교관을 졸속으로 모집하는 탓에 무자격자가 채용되는 사태도 빈발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특전사 캠프라고 주장하는 C캠프 관계자는 “교관 모두가 안전 관련 자격증을 갖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자격증 소지자와 같이 다니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군과 관계 당국은 유사 해병대 캠프 단속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해병대 관계자는 “해병대라는 명칭을 상호나 프로그램 이름으로 사용할 경우 상표법 위반으로 고발해 처벌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내용만 해병대식으로 할 경우에는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고 말했다. 당국의 무책임한 태도 속에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중학교 3학년 딸을 두고 있는 김모 씨(43·여)는 “아이들이 남들과 다른 독특한 경험을 쌓게 하자는 차원에서 여름에 캠프라도 보내고 싶은 게 부모 마음”이라며 “엉망으로 관리돼도 문제고, 안 가면 경쟁에서 뒤처질까 봐 걱정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사고 ::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 및 병영체험학습으로 참가했던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2학년생 198명 가운데 5명이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 이들은 구명조끼를 벗고 바다로 들어오라는 교관의 지시를 따르다가 깊은 바다에 빠져 파도에 휩쓸렸다.
태안=정윤철 기자 trigger@donga.com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
《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사망한 지 18일이면 1년이 된다. 희생된 학생들은 무자격 교관의 지시에 따라 구명조끼도 입지 않고 깊은 바닷속으로 들어갔다가 참변을 당했다. 14일 동아일보 취재팀과 함께 사고 해변을 찾은 유족들은 “사고 당시 많은 안전 문제가 지적됐는데 여전히 해결이 안 된 것 같다”고 탄식했다. 유족들은 불법 사설 캠프 폐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본보 취재 결과 당국의 관리 소홀로 ‘유사 해병대 사설 캠프’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
경찰이 되길 꿈꾸던 아들은 삶과 죽음을 가르는 순간에도 친구들을 외면하지 않았다. 깊은 바다에 빠진 친구를 살리려고 주저 없이 바닷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아들은 결국 자신이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친구들과 함께 싸늘한 시신으로 아버지 곁에 돌아왔다.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다가 숨진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이병학 군(당시 17세) 얘기다.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고 1주년을 나흘 앞둔 14일 이 군의 아버지인 이후식 씨(47·유족 대표) 등 유족 4명과 함께 사고 해변과 학생들이 묵었던 유스호스텔을 찾았다.
○ 유스호스텔은 이름 바꿔 영업 준비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목숨을 잃은 해변으로 가기 위해선 유스호스텔을 가로질러야 했다. 사고 당시 공주사대부고와 계약한 안면도유스호스텔(당시 상호)은 여행업체에 해병대 캠프 사업을 위탁했고, 이 업체가 다시 무자격 교관을 고용한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을 재위탁했다.
유스호스텔은 지난해 11월 태안군의 허가를 얻어 ‘해가든 유스호스텔’로 상호를 바꾼 상태였다. 영업을 재개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숙박용 건물 앞에는 수련활동에 쓰일 법한 무대가 설치됐고, 공사 중인 가건물도 여럿 눈에 띄었다. 유스호스텔 측은 올해 8월까지 휴업을 선언했지만 유족들은 “참사 원인을 제공한 죄를 물어 모든 영업을 취소시켜야 마땅한데 (태안군이) 상호 변경을 허가해 영업 재개 가능성을 열어준 것은 부당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경찰 조사 결과 바닥이 움푹 파인 ‘갯골’에 빠져 학생들이 변을 당했던 사고 해변은 현재 태안군과 해경이 사용을 금지시킨 상태다. 그러나 취재진의 해변 출입을 막는 사람은 없었다. 부표, 계류장(배가 정박할 수 있는 수상안전시설), 구명정 등 안전을 담보할 장치는 보이지 않았다. 이 씨는 “달라진 게 없다. 민간인이 불쑥 여기 들어와 사고를 당해도 아무도 구해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해변을 둘러보던 유족들은 휴대전화를 꺼내 해변 모래를 인근 해수욕장으로 퍼 나르는 공사를 하고 있던 덤프트럭과 굴착기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공사 여파로 해변 곳곳에는 최대 1m 깊이의 웅덩이가 생겼다. 이 씨는 “경사가 진 웅덩이는 해수욕객들이 깊은 물속으로 미끄러져 참변을 당하는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족들이 태안군에 문의한 결과 이 공사는 군청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이었다. 상가번영회 측이 인근 해수욕장의 날카로운 돌을 덮기 위해 임의로 모래를 퍼 나른 것이었다. 해변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태안군과 해경은 유족의 신고를 받고서야 현장에 도착해 공사를 중단시켰다. 하루 4회 순찰을 한다는 해경 측은 공사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유족들은 “참사 후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관리 소홀로 불법 행위가 자행되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라며 혀를 찼다.
○ 유사 해병대 불법 캠프 재개
유족들은 ‘제2의 태안 해병대 사설 캠프 참사’를 막기 위해 모든 불법 사설 캠프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본보 취재 결과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최소 8곳의 유사 해병대 사설 캠프가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8월 해병대가 특허청에 해병대 직영 캠프 외에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쓸 수 없도록 상표등록을 신청해 현재 사설 캠프는 ‘해병대’라는 용어를 쓰지 못한다. 그러나 일부 사설 캠프는 ‘인성 캠프’ ‘극기 캠프’ 등 모호한 명칭을 쓰면서 여전히 해병대식 훈련 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파악된 10개 사설 캠프 운영자들에게 “해병대 캠프를 운영하느냐”고 묻자 8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경북 포항시에서 A캠프를 운영하는 이모 씨는 “태안 사고로 관련 업자들이 몸을 사리다 요즘 들어 영업을 재개했다”고 말했다.
사설 캠프의 훈련 프로그램은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인증한다. 그런데 8개 기관 중 인증을 받은 곳은 인천에 있는 B캠프 1곳에 불과했고, 이곳마저도 인증 내용에 빠져 있는 해병대식 훈련을 하고 있었다. 캠프 운영 방식도 감시를 피하기 위해 ‘게릴라형’으로 변했다. 수요가 있을 때마다 교관들을 모아 운영하는 비정기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 사설 캠프 관계자들은 “언제 단속을 당할지 모른다는 압박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교관을 졸속으로 모집하는 탓에 무자격자가 채용되는 사태도 빈발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특전사 캠프라고 주장하는 C캠프 관계자는 “교관 모두가 안전 관련 자격증을 갖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자격증 소지자와 같이 다니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군과 관계 당국은 유사 해병대 캠프 단속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해병대 관계자는 “해병대라는 명칭을 상호나 프로그램 이름으로 사용할 경우 상표법 위반으로 고발해 처벌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내용만 해병대식으로 할 경우에는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고 말했다. 당국의 무책임한 태도 속에 학부모들은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중학교 3학년 딸을 두고 있는 김모 씨(43·여)는 “아이들이 남들과 다른 독특한 경험을 쌓게 하자는 차원에서 여름에 캠프라도 보내고 싶은 게 부모 마음”이라며 “엉망으로 관리돼도 문제고, 안 가면 경쟁에서 뒤처질까 봐 걱정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사고 ::
지난해 7월 18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해수욕장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수련활동 및 병영체험학습으로 참가했던 공주대 사범대 부설고 2학년생 198명 가운데 5명이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 이들은 구명조끼를 벗고 바다로 들어오라는 교관의 지시를 따르다가 깊은 바다에 빠져 파도에 휩쓸렸다.
태안=정윤철 기자 trigger@donga.com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
7인조 그룹 킹덤, ‘백야’ 쇼케이스 현장
VIVIZ, 신곡 ‘LOVEADE’ 쇼케이스
라잇썸, ‘ALIVE’ 쇼케이스 무대
박찬욱 감독 ‘헤어질 결심’ 칸에 쏟아진 호평 
이정재 ‘헌트’, 칸서 쏟아진 7분 기립박수
볼빨간사춘기, 새 앨범 ‘서울’ 공개
그룹 퍼플키스(PURPLE KISS), ‘memeM’ 앨범으로 컴백
그룹 킹덤(KINGDOM), K팝 크로스오버 ‘승천’ 컴백
오마이걸, 정규 2집 ‘Real Love’ 쇼케이스
(여자)아이들, 정규 1집 [I NEVER DIE]로 컴백
위클리, 신곡 ‘Ven para’ 내고 활동 시작
템페스트, 데뷔 앨범 ‘It‘s ME, It’s WE’ 발매
JYP 신인 걸그룹 엔믹스(NMIXX), ‘O.O’ 데뷔
비비지(VIVIZ), ‘BOP BOP!’ 정식 데뷔
그룹 루미너스(LUMINOUS), ‘All eyes down’ Live Stage
다음 동영상
자동재생동의유튜브 채널
VODA 인기 동영상
재생01:301여기 ISSUE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과 더 2026 카니발 출시
재생01:502매거진동아지하철 선로에 빠진 휴대전화 이렇게 찾았습니다
재생02:093ITip2카메라계의 에르메스, 라이카 카메라 총정리
재생16:264KNN뉴스곽종근 "尹 측이 계속 말 끊어" 항의하자 지귀연 "재판부도 그건 공감" / KNN
재생06:575탐정들의 영업비밀빌런 처리하려다가 호되게 당할 뻔한 아내! 이웃 갈등이 보복으로 이어졌다?!
재생02:436KNN뉴스尹, 재판 전 지귀연 부르더니 "구치소로 의견서 보내지마요" / KNN
재생01:227쉼표 한 줄자신감에 관하여
재생12:298얄미운 사랑1화 하이라이트|졸업영화 하나로 이정재의 인생을 바꿔준 전성우
재생01:369친밀한 리플리"반드시 만난다고 하잖아요?" 이일화의 반응에 확신하는 이시아 [친밀한 리플리] | KBS 251103 방송
재생01:1210KNN뉴스"주님, 제발 문을 열어주세요" 기도 직후 벌어진 믿기 힘든 일 / KNN
재생15:001야구플러스너무도 강한 LG, 올해도 우승각?
재생02:322일보직전담배 안에 XX을?…한국 뚫은 좀비 담배
재생01:193KNN뉴스"또 품절되겠네"…′완판남′ 이재용 ′치맥 회동′서 입은 재킷, ′품절′ / KNN
재생06:204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몰컴하다 들키자 자는 척하고 바로 다시 게임하러...? 주체가 안되는 걸까?!
재생02:185태풍상사(얼음) 이준호 걱정에 자기도 모르게 안겨버린 김민하 | tvN 251101 방송
재생10:056태풍상사7화 하이라이트|이 정도 깡은 기본! 태풍상사의 얼굴, 사장 이준호
재생04:077강적들천년고도 경주에서 열린 APEC 트럼프도 大 만족한 신라 금관 선물 TV CHOSUN 251101 방송
재생04:318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온 힘으로 엄마를 밀치며 컴퓨터 사수(?) 엄마를 향해 욕설을 내뱉기까지?!
재생02:519신상출시 편스토랑군대 간 아들 걱정에 매일 눈물로 일기 쓴 엄니 9년 만에 알게 된 재중이 버럭(?)한 이유는... | KBS 251031 방송
재생03:2210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앉은 자리에서 밤 12시까지 쉬지 않고 게임! 게임 생각 때문에 잠도 못든다...?

VODA STUDI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