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 별세

등록 2014.11.10.
‘한국 섬유산업의 개척자’인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이 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2세. 빈소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는 코오롱그룹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12일 오전 5시, 장지는 경북 김천시 봉산면 금릉공원묘원. 유족으로는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 등 1남 5녀가 있다.

○ 한국 섬유산업의 개척자

고인은 한국 섬유산업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목이다. 1957년 부친인 이원만 창업주(전 국회의원)를 도와 ‘한국나이롱주식회사’를 창업해 한국 최초로 나일론사(絲)를 생산했다. 1922년 4월 1일 경북 영일군에서 이 창업주의 외아들로 태어난 고인은 15세 때 부친이 사업을 하던 일본으로 건너가 사업을 배우다 와세다대 정경학부에 입학했다. 1944년 부인 신덕진 여사(2010년 별세)와 결혼한 뒤 일주일 만에 일본군에 조선학도특별지원병으로 강제 징집당했다.

광복 후 고국으로 돌아온 고인은 직물 생산업체인 경북기업을 세웠다. 1954년에는 삼경물산 서울사무소와 개명상사를 세워 일본과 무역을 시작했다.

1960, 70년대 섬유산업 호황기를 맞아 성장을 거듭한 코오롱그룹은 1977년 그룹 회장제를 신설하고 당시 이동찬 사장을 회장으로 추대했다. 그해 한국나이롱과 한국포리에스텔을 ㈜코오롱으로 이름을 바꿨다. 1980년대 화학섬유 산업이 하락세로 돌아서자 필름, 비디오테이프,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 14년 동안 경총 회장 맡아

고인은 1982년부터 1995년까지 14년 동안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을 맡았다. 1980년대는 노사문제가 심각하던 상황이어서 노사문제를 담당하는 경총 회장은 다른 기업 경영자들이 꺼리던 자리였다. 하지만 고인은 2년 임기 회장을 7차례나 지내며 노사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1990년에는 노사와 공익대표가 참여하는 국민경제사회협의회 발족에 기여했다. 1994년 산업평화선언도 주도했다.

이 명예회장은 체육계 발전에도 큰 발자취를 남겼다. 1985년부터 전국 남녀고교 구간마라톤대회를 주최해 마라톤 인재를 조기 발굴했다. 코오롱 마라톤팀을 창단해 선수를 육성했다. ‘몬주익의 영웅’ 황영조(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와 ‘국민 마라토너’ 이봉주(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리스트)가 이 명예회장의 후원을 받은 마라토너다.

고인은 대한농구협회장과 대한골프협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등도 지냈다.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를 앞두고는 대회 조직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1996년 1월 경영에서 은퇴한 후에는 서울 종로구 통의동 자신의 화실에서 자연을 소재로 한 그림 그리기에 몰두했다.

○ 검소한 씀씀이로 유명…각계 조문 이어져

고인은 1987년 중앙대 강연에서 “기업은 국가 경제의 주체이며 사회 발전의 원천이고 직장인의 생활터전”이라며 “후손에게 풍요로운 정신적·물질적 유산을 남겨놓아야 한다는 건 기업가의 사명”이라는 말로 자신의 기업관을 소개했다. 또 평소 ‘이상은 높게 눈은 아래로’라는 경영 철학을 두고 몸소 경영에 실천했다.

이 명예회장은 ‘검소한 생활’을 한 것으로 잘 알려졌다. 사무실에서는 1947년부터 신던 가죽 슬리퍼를 50년이나 계속 신었다. 1990년대 초 비서진이 이 슬리퍼를 새것으로 바꿔놓았다가 이 명예회장의 불호령에 쓰레기통을 뒤져 다시 가져다 놓은 것은 코오롱그룹에서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일이다. 10년 동안 입은 트렌치코트와, 등산을 갈 때면 동반자들과 같이 탄 9인승 승합차도 이 명예회장의 소박한 생활상을 보여준다.

9일 빈소에는 재계와 정계 등 각계 인사들의 조문행렬이 이어졌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은 빈소에 조화를 보내 고인을 기렸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김윤 삼양사 회장,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빈소를 직접 찾아 조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도 빈소를 찾았다.

주성원 swon@donga.com·김호경 기자

‘한국 섬유산업의 개척자’인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이 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2세. 빈소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는 코오롱그룹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12일 오전 5시, 장지는 경북 김천시 봉산면 금릉공원묘원. 유족으로는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 등 1남 5녀가 있다.

○ 한국 섬유산업의 개척자

고인은 한국 섬유산업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목이다. 1957년 부친인 이원만 창업주(전 국회의원)를 도와 ‘한국나이롱주식회사’를 창업해 한국 최초로 나일론사(絲)를 생산했다. 1922년 4월 1일 경북 영일군에서 이 창업주의 외아들로 태어난 고인은 15세 때 부친이 사업을 하던 일본으로 건너가 사업을 배우다 와세다대 정경학부에 입학했다. 1944년 부인 신덕진 여사(2010년 별세)와 결혼한 뒤 일주일 만에 일본군에 조선학도특별지원병으로 강제 징집당했다.

광복 후 고국으로 돌아온 고인은 직물 생산업체인 경북기업을 세웠다. 1954년에는 삼경물산 서울사무소와 개명상사를 세워 일본과 무역을 시작했다.

1960, 70년대 섬유산업 호황기를 맞아 성장을 거듭한 코오롱그룹은 1977년 그룹 회장제를 신설하고 당시 이동찬 사장을 회장으로 추대했다. 그해 한국나이롱과 한국포리에스텔을 ㈜코오롱으로 이름을 바꿨다. 1980년대 화학섬유 산업이 하락세로 돌아서자 필름, 비디오테이프,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 14년 동안 경총 회장 맡아

고인은 1982년부터 1995년까지 14년 동안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을 맡았다. 1980년대는 노사문제가 심각하던 상황이어서 노사문제를 담당하는 경총 회장은 다른 기업 경영자들이 꺼리던 자리였다. 하지만 고인은 2년 임기 회장을 7차례나 지내며 노사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1990년에는 노사와 공익대표가 참여하는 국민경제사회협의회 발족에 기여했다. 1994년 산업평화선언도 주도했다.

이 명예회장은 체육계 발전에도 큰 발자취를 남겼다. 1985년부터 전국 남녀고교 구간마라톤대회를 주최해 마라톤 인재를 조기 발굴했다. 코오롱 마라톤팀을 창단해 선수를 육성했다. ‘몬주익의 영웅’ 황영조(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와 ‘국민 마라토너’ 이봉주(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리스트)가 이 명예회장의 후원을 받은 마라토너다.

고인은 대한농구협회장과 대한골프협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등도 지냈다.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를 앞두고는 대회 조직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1996년 1월 경영에서 은퇴한 후에는 서울 종로구 통의동 자신의 화실에서 자연을 소재로 한 그림 그리기에 몰두했다.

○ 검소한 씀씀이로 유명…각계 조문 이어져

고인은 1987년 중앙대 강연에서 “기업은 국가 경제의 주체이며 사회 발전의 원천이고 직장인의 생활터전”이라며 “후손에게 풍요로운 정신적·물질적 유산을 남겨놓아야 한다는 건 기업가의 사명”이라는 말로 자신의 기업관을 소개했다. 또 평소 ‘이상은 높게 눈은 아래로’라는 경영 철학을 두고 몸소 경영에 실천했다.

이 명예회장은 ‘검소한 생활’을 한 것으로 잘 알려졌다. 사무실에서는 1947년부터 신던 가죽 슬리퍼를 50년이나 계속 신었다. 1990년대 초 비서진이 이 슬리퍼를 새것으로 바꿔놓았다가 이 명예회장의 불호령에 쓰레기통을 뒤져 다시 가져다 놓은 것은 코오롱그룹에서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일이다. 10년 동안 입은 트렌치코트와, 등산을 갈 때면 동반자들과 같이 탄 9인승 승합차도 이 명예회장의 소박한 생활상을 보여준다.

9일 빈소에는 재계와 정계 등 각계 인사들의 조문행렬이 이어졌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은 빈소에 조화를 보내 고인을 기렸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김윤 삼양사 회장,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빈소를 직접 찾아 조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도 빈소를 찾았다.

주성원 swon@donga.com·김호경 기자

더보기
공유하기 닫기

VODA 인기 동영상